국내여행/제주도(28)
-
더럭초등학교(더럭분교) / 이호호테해변 - 제주시 -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가리 위치하고 있는 더럭초등학교는 학교건물이 세계적인 색채디자이너인 장 필립 랑클로(Jean Phiilippe Lenclos)가 디자인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더럭초등학교는 학생 수 감소로 1996년 3월에는 애월초등학교 더럭분교가 됐고 병설유치원도 폐원에 이르렀다. 이후 2009년에는 전체 학생수가 17명에 불과해 통폐합 대상 학교 직전까지 가기도 했으나, 2012년 삼성전자 겔럭시 노트 이미지 광고를 통해 학교 건물이 무지개색으로 단장되며 포토 스팟으로 입소문을 타기 시작했다. 여기에 지역 주민과 학부모·교직원으로 구성된 더럭분교발전위원회가 다세대 신축 등을 통해 학교 살리기 노력을 지속하면서 학생 수가 꾸준히 늘었고, 2018년 2월에는 더럭초등학교로 승격하기에 이르렀다..
2025.07.13 -
천지연폭포 / 서복공원 / 정방폭포 - 서귀포시 -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귀동에 위치하고 있는 천지연폭포는 해발고도 25m에 위치하며, 높이 22m, 너비 12m, 수심 20m인 폭포다. 천지연은 하늘과 땅이 만나 이루어진 연못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못 속에는 무태장어가 서식하는 것으로도 유명한데, 무태장어는 바다에서 산란하고 하천이나 호수로 돌아오는 회유성 어류이다. 낮에는 하천이나 호수의 깊은 곳에 숨어 있다가 밤에는 얕은 곳으로 나와 먹이를 잡아먹는데, 큰 것은 길이가 2m, 무게가 20㎏에 이른다. 천지연 폭포가 무태장어 서식분포의 북방한계선이기 때문에 천연기념물 27호로 지정되었다 천지연 폭포 서남 쪽에는 구실잣밤나무, 동백나무 등 상록수와 난 종류가 울창하게 우거져 난대림을 이루는데, 특히 이 숲에 자생하는 담팔수나무는 이곳이 그 북방 ..
2025.07.13 -
성 이시돌목장 / 한담마을 - 제주시 -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서 곽지리까지 해안을 따라 나 있는 한담산책로는 제주도 북서부 끝 애월리 마을에서 곽지리의 곽지해수욕장까지 해안을 따라 조성되어 있다.총 길이 1.2km의 산책로가 구불구불하게 이어진 아름다운 해안선을 따라 바다와 최대한 가깝게 조성되어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위치하고 있는 애월 마을은 애월포진과 애월방호소가 있어 붙여진 지명이며, 가손물 마을은 동동네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이다. 남문 마을은 애월성의 남문이 있었다 해서 이름 붙여지게 되었으며, 동동네 마을은 애월 동쪽에 있다는 의미에서 명명되었다.
2025.07.13 -
하티게스트하우스 / 한림공원 - 협제리 - 한림읍 - 제주시 -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한림로 329-10에 위치하고 있는 협재해수욕장은 경사가 완만해 수심이 얕고, 소나무 숲도 있어서 어린이가 있는 가족 단위 여행객의 휴가지로 좋다. 주위에는 다양한 카페와 맛집, 숙소들이 있고, 주변 관광지로는 한림공원, 금능해수욕장, 금능석물원, 월령선인장자생지 등이 있다. 협재해변 바다 앞에는 어린 왕자 속 보아뱀을 삼킨 코끼리 그림 모양의 ‘비양도’가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에 있는 한림공원은 창업자 송봉규가 1971년 협재리 바닷가의 황무지 모래밭을 사들여 야자수와 관상수를 심어 가꾼 사설 공원이다. 1981년 공원 내에 매몰되었던 협재동굴의 출구를 뚫고 쌍용동굴을 발굴하여 두 동굴을 연결한 뒤 1983년 10월 공개하였다. 아열대식물원에는 제주도 자..
2025.07.13 -
방주교회 / 시범바다목장 - 제주시 -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산록남로762번길 113에 위치하고 있는 방주교회는 세계적인 건축가 이타미준이 노아의 방주를 모티브로 설계한 교회다. 제주 시범바다목장은 제주시 한경면 신창~고산까지의 해역(23㎢)에 수산자원조성 및 체험·관광형 바다목장이다. 강제침선어초, 녹고와 수월의 집 등 28종, 2,230개의 인공구조물을 설치하였고, 제주해역 특성을 고려한 산호장 조성과, 지역 특산어종을 증강하기 위해 돌돔, 홍해삼, 전복 등 10종, 5,149천 마리 종묘를 방류하였다. 또한 관광객 등 일반인들이 바다목장을 체험·이용할 수 있도록 생태체험장과 수중테마공원, 바다목장 체험관을 건립하였다. 생태체험장으로서 교량 186m가 세위지코 원담 2개소, 자바리상이 있으며 수중테마공원으로 돌고래상, 돌하르방상 ..
2025.07.13 -
삼방산 / 하멜기념관 / 용머리해변 - 제주도
형제해안도로는 대정읍 상모리 송악산에서 안덕면 사계리를 연결하는 도로이다. 형제해안도로는 사계리와 상모리의 해안과 형제섬, 그리고 국토의 최남단인 마라도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어 푸른 바다와 어우러진 다양한 풍경을 즐길 수 있고,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에 선정될 만큼 아름다운 경치를 자랑한다. 주변 명소로는 사계해변, 형제섬, 발자국 화석 산지 등이 있고, 마라도 잠수함 선착장, 사계리해안 체육공원, 환태평양 평화 소공원 등의 시설이 있어 다양한 볼거리도 제공한다. 형제섬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화순항 부근에 위치한 섬으로 서귀포시 남쪽에 위치해 있다. 지리적으로 형제섬은 바위섬으로 암초에 가까운 모습이다. 형제섬의 형태는 2개의 봉우리가 쌍둥이 처럼 나란히 쏟아져 있는 형태를 띠고 있다 보니..
2025.07.13 -
섭지코지 / 건축학개론촬영지 / 이중섭기념관 - 서귀포시 -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 21에 위치하고 있는 유민미술관은 2017년 6월 9일 개관한 국내 유일 아르누보 유리공예 미술관으로, 휘닉스 제주 섭지코지 내에 위치해 있다. 노출 콘크리트로 기하학적 선과 주변 자연을 살리며 만든 건축물이며, 세계적인 건축가 안도 타다오가 설계한 건축물인 ‘지니어스 로사이(Genius loci)’에 새롭게 조성되었으며, 미술관 전시 설계는 덴마크 건축가인 요한 칼슨(Johan Carlsson)이 맡았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쇠소깍로 128, 일원에 위치하고 있는 쇠소깍은 제주 현무암 지하를 흐르는 물이 분출하여 바닷물과 만나 깊은 웅덩이를 형성한 자연하천이다. 쇠소깍이라는 이름은 제주도 방언이며 쇠는 효돈마을을 뜻하며, 소는 연못, 각은 접미사로서 끝을 의미한..
2025.07.12 -
김녕해변 / 성산-세화 해안도로 / 성산일출봉 - 서귀포시 -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구좌해안로 237에 위치하고 있는 김녕해변은 하늘에서 바라본 모습이 한문 평(平) 자를 이룬 모양을 하고 있어 김녕이라고 불리는, 김녕마을에 있는 해수욕장이다. 김녕해변은 김녕성세기해변이라고도 불리는데 성세기는 외세의 침략을 막기 위한 작은 성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2025.07.11 -
그섬에 가고 싶다 -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북촌북길 44에 위치하고 있는 북촌 하늘금 게스트 하우스는 20개의 객실을 보유하고 있으며, 체크인은 오후 4시부터 가능하고 체크아웃은 오전 10시 30분까지다.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는 제주도의 전통 마을로, 돌담길과 초가집, 그리고 옛 정취가 가득한 곳이다. 북촌은 제주도의 전통적인 삶의 방식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곳으로 좁은 골목길 사이사이로 옛날 제주 집들이 줄지어 서 있고, 돌담길을 따라 걸으며 과거로 시간 여행을 떠난 듯한 느낌이 드는 아름다운 마을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구좌해안로 237에 위치하고 있는 김녕해변은 하늘에서 바라본 모습이 한문 평(平) 자를 이룬 모양을 하고 있어 김녕이라고 불리는, 김녕마을에 있는 해수욕장이다. 김녕해변은 김녕성세기해변..
2025.07.11 -
마라도 - 제주도
마라도기원정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국내 최남단 사찰이다. 마라도(馬羅島)는 대한민국의 최남단에 있는 섬으로, 행정구역상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마라리에 속해 있다. 제주도의 모슬포항으로부터 남쪽으로 11 km 가파도에서 남쪽으로 5.5km 떨어진 해상에 있다. 면적은 0.3 km2인 타원형의 섬이며 주변 일대는 천연기념물 제423호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다. 마라도는 무인도로 울창한 원시림이 덮여 있는 무인도였으나, 1883년(고종 20년)에 모슬포에 거주하던 김(金) · 나(羅) · 한(韓)씨 등 영세 농어민 4, 5세대가 당시 제주목사 심현택으로부터 개간 허가를 얻어 화전을 시작하고서부터 삼림지대는 전부 불타 버렸다 한다. 신세기통신의 1997년 광고가 이 섬의 풍경을 완전히 바꿔놓았으며 ..
2025.07.10 -
마라도 - 제주도
마라도등대는 동중국해와 제주도 남부해역을 오가는 선박들이 육지초인표지로 이용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희망봉’ 등대이다. 마라도 등대는 1915년 3월 아세리친 가스를 이용한 무인 등대로 불을 밝히기 시작해서 1955년 유인 등대가 되었다. 건립 당시 등탑은 높이 6.1m의 백색 원형 벽돌 건물이었는데, 1987년 높이 16m의 백색 팔각형 콘크리트 건물로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른다. 2000년 6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증설하고, 2001년 4월 풍력 발전 시스템을 설치하였다. '마라도 뽀르지웅꿀라(작은 몫)'라고 불리는 마라도성당은 대한민국 최남단 마라도에 위치한 성당이다. 단단한 전복껍데기형상 지붕에, 십자가 오상의 유리 천정 빛이 내려 오도록 설계되었다. '꼰벤뚜알 프란치스코 수도회'와 부산교구 대연동..
2025.07.10 -
마라도 - 제주도
가파초등학교 마라분교장은 마라도에 거주하는 아이들의 교육을 위해 1958년 8월 31일에 설립인가, 이후 1962년 8월 26일에 1개 교실을 신축하고 학생수의 증가로 1972년 11월 30일 1개 교실건물을 증축 1977년 6월 10일 숙직실 및 숙사를 신축, 1981년 10월 26일 급식실을 신축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고 있다.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교단에 속하는 마라도교회는 1977년 방다락 목사에 의해서 개척되었다고 한다. 마라도등대는 동중국해와 제주도 남부해역을 오가는 선박들이 육지초인표지로 이용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희망봉’ 등대이다. 마라도 등대는 1915년 3월 아세리친 가스를 이용한 무인 등대로 불을 밝히기 시작해서 1955년 유인 등대가 되었다. 건립 당시 등탑은 높이 6.1m의 백색..
2025.07.10 -
제주도의 푸른밤
제주도의 푸른밤 / 최성원 떠나요 둘이서 모든 것 훌훌 버리고제주도 푸른 밤 그 별 아래이제는 더 이상 얽매이긴 우리 싫어요신문에 티비에 월급봉투에아파트 담벼락보다는 바달 볼 수 있는창문이 좋아요 낑깡밭 일구고 감귤도우리 둘이 가꿔봐요정말로 그대가외롭다고 느껴진다면 떠나요제주도 푸른 밤 하늘 아래로 도시의 침묵보다는 바다의 속삭임이 좋아요신혼부부 밀려와 똑같은 사진 찍기 구경하며정말로 그대가 재미없다 느껴진다면 떠나요제주도 푸르메가 살고 있는 곳 떠나요 둘이서 힘들게 별로 없어요제주도 푸른 밤 그 별 아래그동안 우리는 오랫동안 지쳤잖아요술집에 카페에 많은 사람에 https://youtu.be/4vQSwav-OSs?si=xbRQo3mU4itsutGv
2025.07.06 -
광치기해변 - 제주시 - 제주도
성산일출봉에서 섭지코지로 향하는 길목에 있는 광치기해변은 제주올레 1코스의 마지막이자 2코스가 시작되는 곳이다. 펄펄 끓던 용암이 바다와 만나 빠르게 굳어지며 형성된 지질구조가 특징이며, 특히 썰물 때는 바닷물에 가려있던 비경들이 속속들이 들어나 숨은 비경을 선사한다. 광치기는 제주도 동쪽 성산일출봉 인근에 위치한 해변으로, 이름의 유래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째, 일출 시 빛이 흠뻑 비친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둘째, 과거 태풍으로 인해 많은 시신이 해변으로 밀려와 관을 많이 짰다는 역사적 배경에서 '관치기'가 변형되어 '광치기'로 불리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2025.07.06 -
외돌개 -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홍동 791번지 일원에 위치하고 있는 외돌개는 150만 년 전 화산 폭발로 섬의 모습이 바뀔 때 생긴 바위섬으로 꼭대기에는 작은 소나무들이 몇 그루 자생하고 있다. 높이는 20m로 삼매봉 남쪽 기슭에 있으며 바다 한복판에 홀로 우뚝 솟아 있다고 하여 '외돌개'라 한다 장군석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름에 얽힌 전설이 전해진다. 고려 말기 탐라(제주도)에 살던 몽골족의 목자(牧子)들은 고려에서 중국 명(明)에 제주마를 보내기 위해 말을 징집하는 일을 자주 행하자 이에 반발하여 목호의 난을 일으켰다. 최영 장군은 범섬으로 도망간 이들을 토벌하기 위해 외돌개를 장군의 형상으로 치장시켜 놓고 최후의 격전을 벌였는데, 목자들은 외돌개를 대장군으로 알고 놀라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한다. 할망바..
2025.07.06 -
제주서커스월드 - 제주시 - 제주도 2025.07.06
-
해녀박물관 - 제주시 -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해녀박물관길 26에 위치하고 있는 해녀박물관은 제주의 상징인 해녀를 주제로 그들의 생활풍습, 무속신앙, 세시풍속, 해녀공동체뿐만 아니라 제주민의 역사, 생업, 경제, 해양, 연희 등 제주의 전통문화를 총망라하여 전시하고 있다. 박물관 안팎의 전시물들은 모두 해녀들이 기부한 것이며, 전시관 안에는 실제 해녀의 집도 기부 받아 옮겨와 있다. 해녀박물관 앞의 정원은 해녀 항일 운동이자 국내 최대 규모의 여성 항일 운동 시위에 참여한 해녀들의 집결지였다. 그곳에는 해녀 항일 운동 정신을 기리고자 제주해녀항일운동비가 세워져 있어 제주 여성의 삶에 대한 강인한 의지를 느낄 수 있다.
2025.07.06 -
민속마을 - 제주시 - 제주도 2025.07.06
-
수목원테마파크 - 제주시 -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은수길 69에 위치하고 있는 수목원테마파크(아이스뮤지엄)는 날씨에 상관없이 즐길 수 있는 실내 공간으로 1년 내내 다양한 얼음조각과 시원하고 스릴 넘치는 얼음 썰매를 즐길 수 있다. 이색적인 공간과 더불어 세상에 없던 재미를 선사하는 짜릿한 가상 현실 VR 체험 등 다양한 즐길 거리가 있다. 테마파크 주변으로는 대한민국 최초의 소나무 숲 안에 조성된 자연 그대로의 형태를 갖춘 야시장과 LED 공원 주변으로 다양한 먹거리와 여행 중 피로를 풀어 줄 족욕 체험도 있어 제주 자연을 느낄 수 있는 ‘도심 속 작은 휴식처’로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주 최대 규모 복합 관광지이다.
2025.07.06 -
절물자연휴양림 - 제주시 -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명림로 584에 위치하고 있는 절물자연휴양림은 구역면적은 300만㎡, 1일 최대 수용인원은 1,000명이다. 절물은 근처에 약효가 좋은 물이 난다고 하여 유래된 이름이며, 이전에 가뭄 때도 물이 마르지 않아 주민들이 식수로 이용했다고 할 정도로 수량이 풍부하다. 봉개동 화산 분화구 아래 산림청이 관리하는 국유림에 조성했으며, 울창한 수림의 대부분이 수령 30년 이상의 삼나무이다. 삼나무 외에 소나무, 산뽕나무가 분포하고 있고, 까마귀와 노루도 서식한다. 휴양림 가운데 자리잡은 절물오름은 해발 650m의 기생화산으로 등산로를 따라 정상에 오르면 말발굽형 분화구가 형성되어 있다.
2025.07.06 -
제주 조랑말타운 - 서귀포시 - 제주도 2025.07.06
-
범섬 - 서귀포시 - 제주도
범섬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법환동 앞바다에 위치하고 있는 무인도다. 문화유산법에 의한 공개제한구역으로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으며, 관리 및 학술 연구의 목적으로 국가유산청장의 허가를 받아 출입할 수 있다. 면적 0.142㎢, 둘레 약 2㎞이다. 남북길이 0.58㎞, 동서길이 0.48㎞, 최고점 87m이다. 호도(虎島)라고도 한다. 서귀포항에서 남서쪽으로 5㎞ 해상에 위치하며 주변에 새섬·문섬·서건도 등이 있다. 섬의 형태가 멀리서 보면 큰 호랑이가 웅크리고 있는 모습 같아 호도라고 하였다. 한때 고려를 지배했던 원나라의 마지막 세력인 목호(牧胡)들이 난(亂)을 일으키자 최영 장군이 군사를 이끌고 제주로 와서 이 섬에 숨어 있던 그들을 완전히 섬멸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해안은 급경사의 깎아지른 ..
2025.07.06 -
서귀포 유람선 - 서귀포시 - 제주도
서귀포(西歸浦)는 제주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지명은 중국 진시황의 명을 받은 서복이 불로초를 찾아 제주도를 방문한 역사적 유래에서 비롯되었다. 서귀포는 '서쪽으로 돌아간 포구'라는 뜻으로, 서복이 정방폭포 암벽에 '서불과지(西福過之)'라는 글자를 새기고 중국으로 귀환한 장소로 전해지고 있다. 서귀포는 한라산의 남쪽에 있어서 산남(山南)이라고 불리고, 서귚으로 불리기도 한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성중로 40에 위치하고 있는 서귀포유람선은 범섬, 문섬, 섶섬, 새섬, 외돌개 등 서귀포 해안의 작은 섬들을 돌아볼 수 있다. 유람선의 출항시간은 11:30, 14:00, 15:20 으로 하루 3번 운항한다. 날씨에 따라 출항시간은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문의 후 방문하는것이 좋다.
2025.07.06 -
그랑블루요트 - 서귀포시 - 제주도
주식회사 제이엠 그랑블루요트는 대포포구에 위치한 요트투어 관광지로 47인승, 44인승 요트를 보유하여 동시에 최대 91명까지 승선이 가능하다.일반투어 소요시간은 1시간으로 대포항에서 출항하여 월평동굴 및 주상절리를 항해하는 차별화된 코스를 운영하고 있다.요트투어를 하는 동안 비경관람, 세일링, 낚시가 가능하다.
2025.07.05 -
소인국테마파크 - 서귀포시 - 제주도
소인국 테마파크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중산간서로 1878에 위치한 미니어처 테마파크이다. 2002년 4월 2일 문을 열었으며, 116개의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
2025.07.05 -
ECOLAND -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번영로 1278-169에 위치하고 있는 에코랜드 테마파크는 1800년대 증기기관차인 볼드윈 기종을 모델화하여 영국에서 수제품으로 제작된 링컨 기차를 타고 3만 평의 곶자왈 원시림을 체험하는 테마파크이다. 에코랜드 테마파크가 위치한 곳은 교래 곶자왈로 지하수 함양은 물론, 보온, 보습 효과가 높아 북방한계 식물과 남방한계 식물이 공존하는 신비의 숲이다 4.5㎞의 기차여행을 즐기는 동안 신비의 숲 곶자왈에서 서식하는 곤충과 동물 그리고 다양한 식물을 체험할 수 있다.
2025.07.04 -
송악산 -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에 위치하고 있는 송악산은 높이 104m, 둘레 3,115m, 면적 585,982㎡이며 절울이, 저별이악이라고도 부른다.
2025.07.04 -
제주도
제주도는 대한민국의 남해에 위치한 섬이자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섬으로, 행정구역상 제주특별자치도에 속한다. 섬의 면적은 1,846km²데 이는 대한민국 면적의 1.84%에 해당한다. 2024년 기준 주민등록 인구는 약 70만 명으로, 공식적으로 섬으로 인정되지 않는 김포반도를 제외하면 한국의 섬 중에서 가장 인구가 많다. 또한 제주도는 중앙의 한라산을 중심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동서 73 km, 남북 31km의 타원형 모양을 하고 있다. 일주도로 길이는 181km, 해안선은 258km이다. 제주도의 북쪽 끝은 김녕해수욕장이고, 남쪽 끝은 송악산이며, 서쪽 끝은 수월봉, 동쪽 끝은 성산 일출봉이다. 제주도는 온대 기후에 속하며, 겨울에도 거의 영하로 떨어지지 않고 영상을 유지한다 Jeju Island ..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