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다

나는 나다

  • 분류 전체보기 (3751) N
    • 프롤로그 (10)
    • Sport (4)
      • Baseball (1)
      • Football (3)
    • 블랙야크100대명산 (90)
      • 산에 관한 사진 (52)
    • 국내여행 (1308) N
      • 서울시 (2)
      • 5궁종묘사직 (3)
      • 경기도 (107) N
      • 충청도 (493) N
      • 강원도 (547)
      • 경상도 (26)
      • 전라도 (120)
      • 제주도 (2)
    • 해외여행 (122)
      • 서유럽 (25)
      • 동유럽 (36)
      • 북유럽 (10)
      • 스페인 (26)
      • 일본 (21)
      • 호주 (1)
    • 창작사진 (1720)
      • 특별한사진 스토리텔링 (40)
      • 사람 연인 친구 부부 (101)
      • 풍경 들판 길 논 밭 (263)
      • 조각 동상 작품 소품 조형물 (342)
      • 건물 다리 조명 가구 (170)
      • 꽃 나무 식물 단풍 숲 (269)
      • 조류 어류 동물 곤충 (56)
      • 바다 호수 강 연못 해변 갯벌 (128)
      • 일몰 일출 해 달 야경 (31)
      • 눈 비 안개 구름 하늘 (23)
      • 배 비행기 기차 공항 항구 (36)
      • 자전거 자동차 곤돌라 (7)
      • 카페 식당 레스토랑 주점 (31)
      • 벽화 그림 간판 표지판 (75)
      • 거리 골목 도시 가로등 (16)
      • 궁 사찰 고건축 유물 유적 (102)
      • 건축 건설현장 (2)
      • 참고사진 (22)
    • 자화상 (69)
    • 자작글 (190)
      • 산문 (61)
      • 자작시 (68)
      • 일기 (61)
    • 좋은시 (75)
    • 좋은글 (46)
    • 영화,드라마,소설 (13)
    • 가톨릭 (64)
    • 에필로그 (32)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나는 나다

컨텐츠 검색

태그

보령시 젊은달와이파크 논산시 충북 홍성군 양양군 하슬라아트월드 전북 강릉시 고성군 영월군 하슬라아트월드뮤지엄 경기도 평창군 아산시 태안군 서울시 강원도 충남 속초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국내여행/충청도(493)

  • 이동녕선생 생가지 - 천안시 -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동리4길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녕선생생가지는 36평생을 독립운동에 헌신하신 독립운동가 석오 이동녕(1869∼1940) 선생이 태어난 곳이다. 이후 일가는 1885년(17세) 한성부 종로 봉익동 2-4번지로 이주하였다. 005년 12월 생가지 보수 및 정비가 완료되고, 생가복원사업이 이루어졌다. 더불어 우물, 포토존(이동녕선생좌상) 등 구조물이 설치되고, 생가에는 안방, 사랑채 등에 옛 가구 및 인물모형이 전시되어 있다.

    2025.05.27
  • 고령박씨 종중재실 고택 - 천안시 -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박문수길 147에 위치하고 있는 고령박씨종중재실은 암행어사로 많은 일화를 남긴 박문수의 제사를 모신 곳이다. 박문수는 조선 후기 문신으로 경종 3년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정랑에까지 올랐다가 1724년 노론이 집권할 때 파면되었다. 1727년 소론이 집권하면서 다시 기용되어 영남암행어사, 충청도암행어사 등을 거치며 부정한 관리들을 적발하였다. 그 뒤 호조참판을 거쳐 병조판서와 영의정에까지 벼슬이 올랐다. 이 건물은 1932년에 세웠으며 안채는 ㄱ자형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 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사랑채는 5칸 규모이며 一자형 평면을 갖춘 집이다. 재실 안에는 박문수 공이 사용하던 유품과 영정을 모시고 있고 박문수의 손자인 박영보가 쓴 수부정기와 박문수 일대..

    2025.05.27
  • 유석 조병박사 생가지 - 천안시 -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유관순길 249에 위치하고 있는 유석 조병옥박사의 생가지다.유석 조병옥박사는 독립운동가이며 정치가다. 조병옥박사는 894년 3월 21일 천안시 병천면 용두리에서 태어났으며 1909년 평양 숭실학교를 졸업했고 1914년 연희전문학교 졸업과 동시에 도미하였다. 미국 콜롬비아대학 졸업 후 귀국 1927년 신간회 조직에 참여하여 광범한 항일 민족전선을 형성하는 운동에 나섰으며, 1929년 광주학생운동 배후조정혐의로 3년간 옥고를 겪었다. 정부 수립후 1953년 내무부 장관을 지내고 1960년에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출마 유세 중 신병으로 미국에서 사망,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이곳에 1995년 4월 20일 생가를 복원하였다. 조병옥 박사의 부친..

    2025.05.27
  • 유관순열사 생가지 - 천안시 -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유관순생가길 18-1에 위치하고 있는 유관순 열사 유적인 생가지는 1972년 10월 사적 제230호로 지정되었다. 터만 남아 있었던 곳을 1991년 12월 초가집 본체와 부속사로 복원하였다. 생가 옆에는 박화성이 시를 짓고, 이철경이 글씨를 쓴 기념비가 세워져 있으며 유관순열사가 다녔던 매봉교회가 위치해 있다. 유관순 열사 생가 옆 기와집 건물은 ‘관리사’라고 부르는 건물이다. 과거 유관순 열사의 동생 유인석 씨가 거처할 곳이 없자 정부에서 1966년 집을 지어 살게 해 줬으며, 1977년 기와집으로 재건축했다. 현재는 유인석 씨의 후손이 거주하고 있다. 인근에는 유관순열사 기념관이 열사의 탄신 100주년을 기념하여 2003년 4월 개관하였다.

    2025.05.27
  • 외암마을 - 송악면 - 아산시 - 충남

    2025.03.16
  • 외암마을 - 송악면 - 아산시 - 충남

    2025.03.16
  • 외암민속마을 - 송악면 - 아산시 - 충남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민속길9번길 13-2에 위치하고 있는 외암민속마을은 500년전 예안 이씨(李氏) 일가가 낙향하여 살았던 곳으로 후에 그의 후대손들을 통해서 반촌(班村)의 면모를 갖추게 된 계기로 지금의 민속마을이 형성되었으며 중요민속자료 236호로 지정되었다

    2025.03.16
  • 외암민속마을 - 송악면 - 아산시 - 충남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민속길9번길 13-2에 위치하고 있는 외암민속마을은 500년전 예안 이씨(李氏) 일가가 낙향하여 살았던 곳으로 후에 그의 후대손들을 통해서 반촌(班村)의 면모를 갖추게 된 계기로 지금의 민속마을이 형성되었으며 중요민속자료 236호로 지정되었다

    2025.03.16
  • 외암민속마을 - 송악면 - 아산시 - 충남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민속길9번길 13-2에 위치하고 있는 외암민속마을은 500년전 예안 이씨(李氏) 일가가 낙향하여 살았던 곳으로 후에 그의 후대손들을 통해서 반촌(班村)의 면모를 갖추게 된 계기로 지금의 민속마을이 형성되었으며 중요민속자료 236호로 지정되었다

    2025.03.16
  • 아산환경과학공원 - 아산시 - 충남

    충남 아산시 실옥로 220에 위치하고 있는 아산환경과학공원은 친환경생태공원으로 장영실과학관, 아산생태곤충원, 생활자원처리장, 아산 시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전망대까지 다양한 시설을 갖춘 휴식처이자 현장학습터이다. 생활자원처리장은 아산시에서 발생되고 있는 생활폐기물과 하수 슬러지를 위생적으로 처리하여 환경오염을 줄이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최신의 기술을 도입한 시설이다. 아산생태곤충원은 곤충을 직접보고 만질 수 있는 생태체험 학습장의 역할을 하고 있다. 장영실과학관은 1층과 2층이 과학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와 현재의 과학기술의 공존하는 체험교육놀이 공간으로써 과학에 대한 관심유발과 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설립되었다. 환경과학공원의 통합입장료를 구입하면 생태곤충원, 장영실과학관, 전망대를 ..

    2025.03.04
  • 신정호수 - 아산시 - 충남

    2025.02.22
  • 신정호수 - 아산시 - 충남

    2025.02.22
  • 곡교천 - 아산시 - 충남

    2025.02.22
  • 김옥균선생유허지 - 영인면 - 아산시 - 충남

    2025.02.22
  • 은행나무길 - 아산시 - 충남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에 위치하고 있는 은행나무길은 아산시 충무교에서 현충사 입구까지 곡교천을 따라 총 길이 2.1km 구간에 조성된 길이며 50년이 된 350여그루의 은행나무가 심어져 있는 아름다운 길이다. 이 은행나무길은 1966년 박정희대통령께서 현충사 성역화 사업을 추진할때  그 일환으로 조성되었으며 1973년 10여 년생의 은행나무를 심은 것이 지금의 은행나무길이 되었다. 산림청과 생명의 숲 국민운동본부가 공동으로 주관한 제1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아름다운 거리숲´ 부문에서 우수가로로 뽑혔으며, '전국의 아름다운 10대 가로수길'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2024.11.27
  • 푸른집 - 효석달빛언덕 - 평창군 - 강원도

    강원도 평창군 봉평을 여행하기 위해선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이라는 소설에 대해 알고 여행을 하면 많은 도움이 될거 같다. 메밀꽃 필무렵이라는 소설은 허생원과 성서방네 처녀, 허생원의 친구 조선달 그리고 성서방네 처녀의 사생아로 태어난 허생원의 아들로 보이는 동이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한마디로 나귀 한마리와 함께 봉평장,평창장등을 떠돌며 포목장사를 하며 살고있는 장돌뱅이 허생원이란 사람과 성서방네 처녀가 봉평 물레방앗간에서 하룻밤의 인연을 맺게 되면서 벌어질 수도  있는 인간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그린 향토색 짙은 소설이다. 봉평장, 나귀, 장돌뱅이, 달빛에 소금처럼 하얗게 빛나는 메밀꽃, 물레방앗간에서의 기이한 하룻밤 등 소설에 나오는 이야기들을 모티브로 이 효석달빛언덕이 만들어진거 같다. 사진속..

    2024.11.25
  • 젊은달 와이파크 - 영월군 - 강원도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송학주천로 1467-9에 위치하고 있는 ‘젊은달 와이파크’는 술샘박물관을 재생공간으로 재탄생시킨 복합예술공간으로 다양한 현대미술 작품들과 여러 박물관과 공방이 합쳐진 복합예술공간이며 조각가 최옥영의 공간기획으로 새롭게 탄생한 현대미술공간이기도 하다. 영월 주천면에 위치한 자연속의 젊은달 와이파크는 최옥영작가의 시그니쳐 컬러인 붉은색을 사용한 작품인 붉은 대나무 붉은 파빌리온 목성 등으로 공간을 구성하였다. 이곳은 11개의 관으로 나뉘어진 거대한 미술관이자 대지미술 공간이다. 1.출입구 붉은 대나무 / 최옥영2.젊은달 카페3.목성 / 최옥영 대지미술이자 설치미술작품인 젊은달의 랜드마크4.젊은달 미술관 Ⅰ 그레이스 박 ‘시간의거울 – 사임당이 걷던길 / 최옥영작가 우주정원5.붉은 파밀리..

    2024.11.13
  • 단종어가(端宗御家) - 청령포 - 영월군 - 강원도

    단종어소 혹은 단정어가는 영월 청령포에 위치하고 있는 어소로 『승정원일기』 기록에 따라 기와집으로 당시 모습을 재현하였다. 어소에는 단종이 머물던 정면 5칸 측면 2칸 반의 겹치마 팔작지붕의 기와집인 본채와 궁녀 및 관노들이 지내던 행랑채인 초가집이 있으며, 어소 담장 안에 단묘재본부시유지비가 있다. 어소는 임금이 계시는 곳을 이르는 말이다.

    2024.11.13
  • 청령포(淸泠浦) - 영월군 - 강원도

    강원도 영월군 남면 광천리 산67-1에 위치하고 있는 청령포(淸泠浦)는 세조(世祖)에 의해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봉된 단종의 유배지로, 그 해 여름 홍수로 서강이 범람하여 처소를 영월 객사인 관풍헌(觀風軒)으로 옮기기 전까지 단종이 머물던 곳이다. 청령포에는 유배 당시 거처인 기와집인 단종어가 한 채와 호위하던 시종들이 사용하던 초가 건물이 복원되어 있다. 유배 당시 세운 것으로 알려진 금표비(禁標碑), 영조 때 세운 단묘유적비(端廟遺蹟碑), 2000년 4월 단종문화제 때 세운 단종어가(端宗御家)등이 있으며, 단종이 한양에 남겨진 정순왕후(定順王后)를 생각하며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막돌을 주워 쌓았다고 전해지는 돌탑인 망향탑(望鄕塔), 단종이 올라가 놀았다는 소나무 관음송(觀音松탑), 단종이 한양을 바라..

    2024.11.13
  • 문광저수지 - 괴산군 - 충북

    충북 괴산군 문광면 양곡리 16에 위치하고 있는 문광저수지는 전형적인 작은 농촌마을의 저수지다. 저수지 남쪽으로 400m의 길을 따라 양쪽에 약 200여 그루의 은행나무가 식재되어 있어 가을이면 노랗게 물드는 은행나무로 유명하다. 문광저수지 변에 있는 마을을 '도람말'이라고 부르며 은행나무마을축제가 열린다.  은행나무 길 옆의 소금 랜드에는 소금문화관 및 체험시설(염전,김장,자염등)등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체험 ·교육공간으로 27,718㎡ 부지에 조성되어있고 부대시설로는 소나무공원(1,529㎡), 야생화공원(5,321㎡), 햇살광장 (902㎡), 어린이놀이시설 주차장(150대) 및 녹지공간 등이 조성되어있다.

    2024.11.11
  • 문광저수지 - 괴산군 - 충북

    충북 괴산군 문광면 양곡리 16에 위치하고 있는 문광저수지는 전형적인 작은 농촌마을의 저수지다. 저수지 남쪽으로 400m의 길을 따라 양쪽에 약 200여 그루의 은행나무가 식재되어 있어 가을이면 노랗게 물드는 은행나무로 유명하다. 문광저수지 변에 있는 마을을 '도람말'이라고 부르며 은행나무마을축제가 열린다.  은행나무 길 옆의 소금 랜드에는 소금문화관 및 체험시설(염전,김장,자염등)등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체험 ·교육공간으로 27,718㎡ 부지에 조성되어있고 부대시설로는 소나무공원(1,529㎡), 야생화공원(5,321㎡), 햇살광장 (902㎡), 어린이놀이시설 주차장(150대) 및 녹지공간 등이 조성되어있다.

    2024.11.11
  • 문광저수지 - 괴산군 - 충북

    충북 괴산군 문광면 양곡리 16에 위치하고 있는 문광저수지는 2km의 은행나무길이 둘러싸고 있는 전형적인 작은 농촌마을의 저수지다.

    2024.11.11
  • 태학산 자연휴양림 - 천안시 - 충남

    태학산자연휴양림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삼태리에 위치하고 있는 자연휴양림이다. 구역면적은 102ha이고 수용인원은 하루에 1,000명이다. 휴양림 내에는 작은 계곡과 울창한 소나무 숲이 우거져 있고 여러 종류의 야생화가 만발하여 가족 단위의 휴식처로서 적합하다. 주요시설로는 숲속의 집 2동과 오토캠핑장, 어린이놀이시설이 있으며, 3개 노선의 등산로·대피소·정자·주차장 등도 있다.

    2024.06.20
  • 온빛자연휴양림 - 논산시 - 충남

    충남 논산시 벌곡면 황룡재로 480-113에 위치하고 있는 온빛자연휴양림은 하 충남 논산시 벌곡면 황룡재로 480-113에 위치하고 있는 온빛자연휴양림은 종류를 알수없는 많은 수목과 하늘을 찌를 듯 높이 서있는 메타세쿼이아 숲길이 환상적으로 어우러져있는 아름다운 자연휴양림이다. 일반 수목원처럼 계획적으로 잘 정돈된 곳은 아니지만 자연스러운 원시적 공간에서 풍겨나오는 피톤치드라고 불리우는 파이톤사이드(Phytoncide)는 지친 우리들의 몸과 마음을 차분하게 정화시켜주는 비밀정원(Secret Garden)이라고 할수 있는 곳이다. 참고로 이곳은 사유지라서 편의점이나 카페같은 편의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자연휴양림이다.

    2024.06.16
  • 종댕이길 1코스 - 충주시 - 충북

    충북 충주시 종민동 산84-1, 충주호 종댕이길안내소 마즈막재 제2주차장 – 즈막재 약수 - 오솔길이정표 – 생태연못(삼형제나무) - 제1조망대 – 종댕이고개(모자나무) - 팔각정 – 지네들의 돌집(쉼터) - 제2조망대 – 전망대 – 포토존이정표 – 피톤치드숲 – 소원바위 – 출렁다리 – 육각정 – 계명산자연휴양림 – 심항산 해맞이 도심숲 교차로 – 오솔길이정표 – 마즈막재 약수터 – 마즈막재 제2주차장 거리 6.2km,2시간 30분소요

    2024.06.16
  • 풍경 - 세종호수공원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는 2012년 6월 30일에 연기군을 폐지하고 2012년 7월 1일에 설치되었고 2021년 기준 45개의 중앙행정기관과 소속기관들과 15개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을 포함한 20개 공공기관이 들어서 있는 대한민국의 행정중심복합도시다. 최근엔 대한민국내에 살기좋은 도시중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행정중심복합도시로서 자리를 잡은 그런 특별자치시이기도 하다. 그 중심에 자연과 문화와 도시가 어우러진 약 32.5만m2 면적의 세종호수공원과  총 약 138만m2 면적중  현재 개방된 1단계 면적인 약 52만m2 면적의 미완의 세종중앙공원이 있다. 도시 근처에 여의도 면적의 절반쯤 되고 축구장 면적의 200배나 되는 약 43만평이나 되는 대규모 공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그것이 자연적인 공원이 아니고 인위적으로 ..

    2024.06.16
  • 풍경 - 세종호수공원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는 2012년 6월 30일에 연기군을 폐지하고 2012년 7월 1일에 설치되었고 2021년 기준 45개의 중앙행정기관과 소속기관들과 15개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을 포함한 20개 공공기관이 들어서 있는 대한민국의 행정중심복합도시다. 최근엔 대한민국내에 살기좋은 도시중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행정중심복합도시로서 자리를 잡은 그런 특별자치시이기도 하다. 그 중심에 자연과 문화와 도시가 어우러진 약 32.5만m2 면적의 세종호수공원과  총 약 138만m2 면적중  현재 개방된 1단계 면적인 약 52만m2 면적의 미완의 세종중앙공원이 있다. 도시 근처에 여의도 면적의 절반쯤 되고 축구장 면적의 200배나 되는 약 43만평이나 되는 대규모 공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그것이 자연적인 공원이 아니고 인위적으로 ..

    2024.06.16
  • 풍경 - 세종호수공원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는 2012년 6월 30일에 연기군을 폐지하고 2012년 7월 1일에 설치되었고 2021년 기준 45개의 중앙행정기관과 소속기관들과 15개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을 포함한 20개 공공기관이 들어서 있는 대한민국의 행정중심복합도시다. 최근엔 대한민국내에 살기좋은 도시중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행정중심복합도시로서 자리를 잡은 그런 특별자치시이기도 하다. 그 중심에 자연과 문화와 도시가 어우러진 약 32.5만m2 면적의 세종호수공원과  총 약 138만m2 면적중  현재 개방된 1단계 면적인 약 52만m2 면적의 미완의 세종중앙공원이 있다. 도시 근처에 여의도 면적의 절반쯤 되고 축구장 면적의 200배나 되는 약 43만평이나 되는 대규모 공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그것이 자연적인 공원이 아니고 인위적으로 ..

    2024.06.16
  • 산책길 - 세종호수공원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는 2012년 6월 30일에 연기군을 폐지하고 2012년 7월 1일에 설치되었고 2021년 기준 45개의 중앙행정기관과 소속기관들과 15개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을 포함한 20개 공공기관이 들어서 있는 대한민국의 행정중심복합도시다. 최근엔 대한민국내에 살기좋은 도시중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행정중심복합도시로서 자리를 잡은 그런 특별자치시이기도 하다. 그 중심에 자연과 문화와 도시가 어우러진 약 32.5만m2 면적의 세종호수공원과  총 약 138만m2 면적중  현재 개방된 1단계 면적인 약 52만m2 면적의 미완의 세종중앙공원이 있다. 도시 근처에 여의도 면적의 절반쯤 되고 축구장 면적의 200배나 되는 약 43만평이나 되는 대규모 공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그것이 자연적인 공원이 아니고 인위적으로 ..

    2024.06.16
  • 풍경 - 세종호수공원 -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는 2012년 6월 30일에 연기군을 폐지하고 2012년 7월 1일에 설치되었고 2021년 기준 45개의 중앙행정기관과 소속기관들과 15개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을 포함한 20개 공공기관이 들어서 있는 대한민국의 행정중심복합도시다. 최근엔 대한민국내에 살기좋은 도시중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행정중심복합도시로서 자리를 잡은 그런 특별자치시이기도 하다. 그 중심에 자연과 문화와 도시가 어우러진 약 32.5만m2 면적의 세종호수공원과  총 약 138만m2 면적중  현재 개방된 1단계 면적인 약 52만m2 면적의 미완의 세종중앙공원이 있다. 도시 근처에 여의도 면적의 절반쯤 되고 축구장 면적의 200배나 되는 약 43만평이나 되는 대규모 공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그것이 자연적인 공원이 아니고 인위적으로 ..

    2024.06.16
이전
1 2 3 4 ··· 17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