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다

나는 나다

  • 분류 전체보기 (3666) N
    • 프롤로그 (10) N
    • Sport (4)
      • Baseball (1)
      • Football (3)
    • 블랙야크100대명산 (90)
      • 산에 관한 사진 (52)
    • 국내여행 (1294)
      • 서울시 (2)
      • 5궁종묘사직 (3)
      • 경기도 (97)
      • 충청도 (489)
      • 강원도 (547)
      • 경상도 (26)
      • 전라도 (120)
      • 제주도 (2)
    • 해외여행 (122)
      • 서유럽 (25)
      • 동유럽 (36)
      • 북유럽 (10)
      • 스페인 (26)
      • 일본 (21)
      • 호주 (1)
    • 창작사진 (1720)
      • 특별한사진 스토리텔링 (40)
      • 사람 연인 친구 부부 (101)
      • 풍경 들판 길 논 밭 (263)
      • 조각 동상 작품 소품 조형물 (342)
      • 건물 다리 조명 가구 (170)
      • 꽃 나무 식물 단풍 숲 (269)
      • 조류 어류 동물 곤충 (56)
      • 바다 호수 강 연못 해변 갯벌 (128)
      • 일몰 일출 해 달 야경 (31)
      • 눈 비 안개 구름 하늘 (23)
      • 배 비행기 기차 공항 항구 (36)
      • 자전거 자동차 곤돌라 (7)
      • 카페 식당 레스토랑 주점 (31)
      • 벽화 그림 간판 표지판 (75)
      • 거리 골목 도시 가로등 (16)
      • 궁 사찰 고건축 유물 유적 (102)
      • 건축 건설현장 (2)
      • 참고사진 (22)
    • 자작글 (190)
      • 산문 (61)
      • 자작시 (68)
      • 일기 (61)
    • 좋은시 (75)
    • 좋은글 (46)
    • 영화,드라마,소설 (13)
    • 가톨릭 (64)
    • 에필로그 (32)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나는 나다

컨텐츠 검색

태그

보령시 논산시 하슬라아트월드뮤지엄 경기도 충북 젊은달와이파크 영월군 태안군 서울시 아산시 강릉시 평창군 고성군 전북 강원도 홍성군 하슬라아트월드 속초시 양양군 충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창작사진/꽃 나무 식물 단풍 숲(269)

  • Lily

    릴리(Lilly)는 백합을 뜻하며 어원은 라틴어의 릴리움(Lilium)이며, 여자 이름으로 쓰기 한다.

    2024.11.28
  • 접시꽃 / 홀리호크(Hollyhock)

    한국에서는 꽃이 접시 모양과 닮았다고 해서 '접시꽃'이라고 부른다. 중국에서는 촉나라의 꽃이라는 의미에서 '촉규(蜀葵)'라고 부르고, 단오절에 꽃이 핀다고 하여 '단오화(端午花)'라고도 부른다. 일본에서는 줄기가 곧게 세워져 있는 꽃이라고 해서 '타치아오이(タチアオイ, 立葵)'라고 한다. 꽃말은 '단순', '편안'(단순한 사랑, 아양떠는 사랑), '다산', '풍요'다. 蜀葵花 / 崔致遠 寂莫荒田側 (적막황전측)繁花壓柔枝 (번화압유지)香輕梅雨歇 (향경매우헐)影帶麥風欹 (영대맥풍의)車馬誰見賞 (거마수견상)蜂蝶徒相窺 (봉접도상규)自慙生地賤 (자참생지천)堪恨人棄遺 (감한인기유) ​촉규화 / 최치원  적막하고 거친 밭가에 접시꽃무성한 꽃송이 여린 가지를 눌렀네날리는 향기에 유원 비 마저 그치고 바람에 고개숙인 보..

    2024.11.28
  • 접시꽃 / 홀리호크(Hollyhock)

    한국에서는 꽃이 접시 모양과 닮았다고 해서 '접시꽃'이라고 부른다. 중국에서는 촉나라의 꽃이라는 의미에서 '촉규(蜀葵)'라고 부르고, 단오절에 꽃이 핀다고 하여 '단오화(端午花)'라고도 부른다. 일본에서는 줄기가 곧게 세워져 있는 꽃이라고 해서 '타치아오이(タチアオイ, 立葵)'라고 한다. 꽃말은 '단순', '편안'(단순한 사랑, 아양떠는 사랑), '다산', '풍요'다. 蜀葵花 / 崔致遠 寂莫荒田側 (적막황전측)繁花壓柔枝 (번화압유지)香輕梅雨歇 (향경매우헐)影帶麥風欹 (영대맥풍의)車馬誰見賞 (거마수견상)蜂蝶徒相窺 (봉접도상규)自慙生地賤 (자참생지천)堪恨人棄遺 (감한인기유) ​촉규화 / 최치원 적막하고 거친 밭가에 접시꽃무성한 꽃송이 여린 가지를 눌렀네날리는 향기에 유원 비 마저 그치고바람에 고개숙인 보리 ..

    2024.11.28
  • 자작나무 숲 - 인제군 - 강원도

    자작나무는 나무를 태우면 자작자작 소리가 난다 하여 붙혀진 이름으로 북부지방의 깊은 산 양지쪽에서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이다. 자작나무는 예로부터 신성하게 취급되는 나무였다. 북방민족들이 살고 있었던 시베리아에서는 나무를 통해서 영혼이 하늘로 올라간다고 믿었다. 그래서 그들은 상징적으로 사다리에 올라 하늘 높이 있는 신령과 대화하는데, 그 사다리가 바로 자작나무로 만들어졌다고 하며 개마고원에서는 시신을 자작나무 껍질로 싸서 매장하기도 했다. 무당들이 굿을 할 때 제단 가까운 곳에 장식하는 종이꽃(紙花)은 하늘과 지상을 연결하는 매개물의 상징인데 종이꽃 장식은 자작나무를 상징한다. 신라의 금제 고배나 금관은 나뭇가지와 사슴뿔 모양을 갖고 그 위에 곡옥이나 나뭇잎을 달고 있는데, 심장형 나뭇잎 장식은 바로 자작..

    2024.11.27
  • Metasequoia - Youngwol - Gangwon State

    메타세콰이어(Metasequoia)는 석탄기 이전에 번성하였으나 현재는 중국 일부에서만 자생하고 있는, 이른바 "살아 있는 화석"이라 불리우는 종이다. 크기는 보통 35m 정도 자라며, 최대 50m 까지 큰다. 평균 수명은 100년 이상이고, 400년 넘게 자라는 개체도 있는 것으로 보아 더 오래 살 수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나무껍질은 갈색이고 원줄기는 곧게 수직으로 높게 뻗어 전체적인 나무의 모양은 원추형을 이룬다. 꽃말은 '영원한 친구', '위엄'이다. 사진은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미다리길 58에 위치하고 있는 판운캠핑장 내에 있는 메타세콰이어길이다.

    2024.11.14
  • 히말라야시다나무 - 죽서루 - 삼척시 - 강원도

    히말라야시다는 본래 산스크리트어로 '신의 나무(devadāru)'라는 뜻으로 학명에도 반영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잎갈나무와 모양이 비슷하지만 잎갈나무와는 다르게 상록수이기 때문에 가짜라는 '개'라는 접두어가 붙어 '개잎갈나무'라고 불리게 되었다. 동대구로 범어네거리 ~ 동대구역네거리 구간(2km 정도)에 이 나무가 가로수로 심어져 있다. 소나무과 나무와 같이 타감작용(allelopathy)이 있어서 주변 식물들의 생장을 방해하는 특성이 있지만 맥문동만은 이 나무 주변에서도 잘 자란다고 한다. 힌두교에서 신성시하며 숭배하는 나무다. 꽃말은 '보고 싶은 아버지'다.

    2024.11.10
  • Fir Forest Trail - Woljeongsa Temple - Pyeongchang - Gangwon State

    부안 내소사, 남양주 광릉수목원과 함께 이 땅의 ‘3대 전나무숲’으로 꼽히는 월정사 전나무숲은 월정사 일주문에서 금강교까지 약 1km에는 1,700여 그루의 전나무가 있는 숲이다.

    2024.10.31
  • Fir Forest Trail - Woljeongsa Temple - Pyeongchang - Gangwon State

    부안 내소사, 남양주 광릉수목원과 함께 이 땅의 ‘3대 전나무숲’으로 꼽히는 월정사 전나무숲길은 월정사 일주문에서 금강교까지 약 1km에는 1,700여 그루의 전나무가 있는 숲이다.

    2024.10.31
  • Fir Forest Trail - Woljeongsa Temple - Pyeongchang - Gangwon State

    부안 내소사, 남양주 광릉수목원과 함께 이 땅의 ‘3대 전나무숲’으로 꼽히는 월정사 전나무숲길은 월정사 일주문에서 금강교까지 약 1km에는 1,700여 그루의 전나무가 있는 숲이다.

    2024.10.31
  • Passion Flower - World Flower Botanical Garden - Asan City - Chong Nam

    2024.10.27
  • Pine Tree - Gyeongpo Beach - Gangneung City - Gangwon Do

    2024.10.27
  • 생명력 - 실향민문화촌 - 속초시립박물관 - 속초시 - 강원도

    우리 눈에 보이는 크고 작은 식물들은 길게는 수억, 수천 년 전부터 지구상에 생존해온 것들이다. 모든 식물은 적자생존이 명백한 자연 생태계에서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다.  식물은 생물계의 두갈래 중 하나이며  대체로 이동력이 없고 체제가 비교적 간단하여 신경과 감각이 없고 셀룰로스를 포함한 세포벽과 세포막이 있다. 세균식물이나 균류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엽록소를 가지고 있어 광합성으로 영양을 보충하고 꽃과 홀씨주머니 따위의 생식 기관이 있다. 종자식물, 양치식물, 선태식물, 균류, 조류(藻類), 세균식물 따위로 분류한다.

    2024.10.19
  • 소나무 - 죽도봉공원 - 강릉시 - 강원도

    바닷가에는 해송이라고 불리우는 소나무들이 유난히 많이 자라고 있다. 바닷가에 서있는 소나무는 바람과 염분에 잘 견딜 수 있도록 가지가 아래로 처지고, 잎이 두꺼운 특징을 가지고 있는 나무다. 경포에서 자라는 소나무의 품종은 적송 또는 육송으로 알려져 있다. 적송은 붉은 표피을 가지며, 경북이나 강원도, 특히 강릉과 인근 지방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고 한다. 적송은 춘양목, 황장목, 미인송, 금강송 등으로도 불리우는 소나무다.

    2024.10.17
  • 죽도봉공원 - 강릉시 - 강원도

    죽도봉공원은 강릉항근처에 있는 해발 37m의 작은 봉우리 산책공원이다. 남대천과 강릉항과 동해바다가 보이는 일부러 찾아가지  않으면 모르고 지나칠수 있는 그런 작은 공원이다.

    2024.10.16
  • 사임당 초충도 화단 - 오죽헌 - 강릉시 - 강원도

    오죽헌 내에 있는 신 사임당 초충도 화단이다. 그분을 추모하거나 기억하기 위해 조성해 놓은 아름다운 화단인거 같다. 초충도(草蟲圖)란 풀과 벌레를 소재로 한 그림을 총칭하는 말이다. 신 사임당의 초충도는 그리는 대상의 특징을 잘 잡아내어 많은 묘사 없이 간결하면서도 사실적으로 그렸다고 한다. '초충도'에는 메뚜기, 귀뚜라미, 조롱박, 나비, 잠자리, 개미, 작은 쥐, 수박, 포도, 가지, 수탉 꽃, 양귀비꽃 등이 많이 나온다. 더더욱 대한민국 50,000원권 앞면 그리고 5,000원권 뒷면에도 신 사임당의 초충도가 그려져 있다.

    2024.10.16
  • 오죽헌의 가을 - 강릉시 - 강원도

    강릉 오죽헌(江陵 烏竹軒)은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栗谷 李珥)의 생가다. 잘 꾸며진 오죽헌에 가을이 오고 있었다.

    2024.10.16
  • Cosmos - Gyeongpo Lake Sculpture Park - Gangneung - Gangwondo

    흔들리다 / 문태준  코스모스는 우주의 꽃이다.나는 코스모스를 보고 있다 나는 중심코스모스는 주변바람이 오고 코스모스가흔들린다 나는 흔들리는코스모스를 보고 있다 코스모스가 흔들린다고생각할 때 중심이 흔들린다 욕조의 물이 빠지며 불어들 듯중심은나로부터 코스모스에게서서히 넘어간다 나는 주변코스모스는 중심 나는 코스모스를코스모스는 나를흔들리며 바라보고 있다

    2024.10.11
  • 연 - 경포가시연습지 - 강릉시 - 강원도

    2024.10.01
  • 접시꽃 - 부귀메타길 - 진안군 - 전북

    신라시대 문신, 유학자, 문장가였던 최치원(崔致遠)이 당나라 유학 중 접시꽃을 보고 자신의 처한 상황을 빗대어 시를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시는 최치원의 蜀葵花(촉규화)라는 시다. 촉규화는 접시꽃이다.  蜀葵花 / 崔致遠 寂寞荒田側 繁花壓柔枝(적막황전측 번화압유지)香經梅雨歇 影帶麥風欹(향경매우헐 영대맥풍의)車馬誰見賞 蜂蝶徒相窺(거마수견상 봉접도상규)自慚生地賤 堪恨人棄遺(자참생지천 감한인기유) 촉규화 / 최치원 쓸쓸하고 황량한 밭가에 가지가 무겁도록 화려한 꽃 달렸네봄장마 그치니 가볍게 향기 날고 초여름 바람 타고 그림자 한들대네수레나 말 탄 귀인 누가 와서 보겠는가 벌이나 나비만이 한갓 서로 엿본다네태어난 땅 천한 것 스스로 부끄러워 사람들 버려 둔 것 원망할 수 있으리오

    2024.06.24
  • Petunia - 벽천폭포 - 바다향기수목원 - 대부도 - 안산시 - 경기도

    페튜니아(Petunia)는 아르헨티나 원산인 꽃으로, 도로변 화단 조성에 주로 쓰이는 흔한 여름꽃이다 페튜니아(Petunia)의 꽃말은 "사랑하는 당신과 함께하는 행복, 당신과 함께 있으면 온화해집니다. 당신과 함께 있으면 마음이 편안하고 온화해집니다“ 다

    2024.06.01
  • Rudbeckia - 바다향기수목원 - 대부도 - 안산시 - 경기도

    루드베키아(Rudbeckia)는 국화과에 속하는 속씨식물 속의 하나로, 약 25종의 꽃식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지역이 원산지이다.

    2024.06.01
  • 황금실화백 - 바다향기수목원 - 대부도 - 안산시 - 경기도

    실화백은 화백의 변종으로 생김새는 화백과 비슷하지만 가지가 실처럼 가늘게 뻗어 늘어지는 것이 다르다. 잎도 황금색이며 화백보다 작고 끝이 뾰족해 날카롭다. 황금색 가는실처럼 늘어진다 하여 황금실화백이라는 이름이 붙혀졌다.

    2024.06.01
  • 꽃과 나비 - 바다향기수목원 - 대부도 - 안산시 - 경기도

    2024.06.01
  • 무제 - 바다향기수목원 - 대부도 - 안산시 - 경기도

    2024.06.01
  • 수련 - 심청연못 - 바다향기수목원 - 대부도 - 안산시 - 경기도

    수련(睡蓮)은 중부지방 이남의 연못에 심어 기르는 여러해살이풀로 6~7월에 꽃이 피는데 꽃이 3일간 낮에는 피었다가 밤에는 닫히는 특징을 가진꽃이다. 그래서일까 '잠자는 연꽃'이라는 뜻의 잠 수(睡) 연꽃 련(蓮)의 수련(睡蓮)이라는 이름들 가지고 있다. 꽃말은 '청순한 마음', '깨끗한 마음', '물의 요정' 등을 가지고 있다.

    2024.06.01
  • 수련 - 심청연못 - 바다향기수목원 - 대부도 - 안산시 - 경기도

    수련(睡蓮)은 중부지방 이남의 연못에 심어 기르는 여러해살이풀로 6~7월에 꽃이 피는데 꽃이 3일간 낮에는 피었다가 밤에는 닫히는 특징을 가진꽃이다. 그래서일까 '잠자는 연꽃'이라는 뜻의 잠 수(睡) 연꽃 련(蓮)의 수련(睡蓮)이라는 이름들 가지고 있다. 꽃말은 '청순한 마음', '깨끗한 마음', '물의 요정' 등을 가지고 있다.

    2024.06.01
  • 엉겅퀴 - 바다향기수목원 - 대부도 - 안산시 - 경기도

    엉겅퀴는 가시나물이라 하여 결각진 잎의 톱니가 모두 가시로 되어 있어서 다치면 따끔거린다. 엉겅퀴의 뜻은 '가시' 또는 '가시나무'를 의미하는 '엉겅'과 '꽃'을 의미하는 '퀴'가 결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엉겅퀴는 재미난 이야기가 있는데  옛날 스코틀랜드에 침입한 바이킹의 척후병이 성 밑에 난 엉 겅퀴가시에 찔려 비명을 지르는 바람에 성내의 병사들이 깨어나 바이킹을 물리쳤다 하여 구국의 공로로 스코틀랜드의 국화가 된 꽃으로 유명한 식물이다.

    2024.06.01
  • 삼색버드나무 - 심청연못 - 바다향기수목원

    셀릭스 인테그라(Salix integra) 즉 삼색버드나무는 잎이 흰색, 핑크색, 초록빛 세 가지 컬러를 가지고 있어 삼색버드나무라고 한다.

    2024.06.01
  • 장미 - 장미원 - 바다향기수목원 - 대부도 - 안산시 - 경기도

    2024.06.01
  • 꽃 - 바다향기수목원 - 대부도 - 안산시 - 경기도

    2024.05.31
이전
1 2 3 4 ··· 9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