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 위치한 부여왕릉원 숭목전은 백제 시조 온조왕과 성왕, 위덕왕, 혜왕, 법왕, 무왕, 의자왕의 7대왕에게 제례를 지내는 사당이다. 대지면적 3,029㎡의 부지에 숭목전과 제례 준비 공간인 전사청, 삼문, 담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숭목전 건물은 하앙식 목구조인 맞배지붕으로 지어졌다.
부여왕릉원에는 백제 마지막 왕인 의자왕과 태자인 부여융의 가묘가 있다. 이 고분군에 있는 무덤 중 백제 당대가 아닌 현대에 백제 양식을 참조해 새로 만든 무덤이다. 백제 멸망 후 왕자 부여태 부여융 부여연 및 대신 장사88명 백성 12,807명과 함께 당나라 뤄양(洛陽)으로 끌려간 의자왕은 며칠뒤 병으로 숨을 거두고 뤄양성 (洛陽城) 북망산(北邙山)에 묻혔다고 전한다. 1920년 뤄양 북망산에서 부여웅 태자의 묘지석이 먼저 출토되었고 후에 1995년 낙양시 맹진현 봉황대촌 부근에서 의자왕의 묘역으로 추정되는 곳을 확인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그곳에서는 도굴로 인해 시신, 목관의 흔적과 지석은 찾을 수 없었다. 중국 뤄양 북망산에서 부여융 태자의 묘지석 복제품과 의자왕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곳의 흙을 ..
나성은 성 외곽 또는 성 밖에 겹으로 둘러 쌓은 성을 말한다. 부여나성은 백제의 수도 사비를 보호하기 위해 쌓은 둘레 8km의 성이다. 부소산성을 중심으로 동쪽과 서쪽으로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부여시가지 외곽을 둘러싸고 있다. 평양에 있는 나성과 함께 가장 오래된 나성 중의 하나이며, 웅진(지금의 공주)에서 사비(지금의 부여)로 수도를 옮긴 538년경에 쌓은 것으로 보인다. 성벽은 부소산성의 동문이 있던 자리에서 시작하여 금강변까지 흙으로 쌓아만든 것으로, 지금은 약간의 흔적만 남아있다.
부여왕릉원은 충남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15 일대에위치한고분군이다. 3개의 무덤군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사비시대의 백제 왕릉원으로 알려져 있다. 총 7기의 왕릉급 고분과 동쪽에 5기 서쪽으로 몇 기의 왕족과 귀족들의 무덤이 남아있다. 발굴조사 이전에 이미 모두 도굴당하여 소수의 금제, 금동제 유물만이 수습되었다. 능산리에 있는 고분의 총 개수는 20개이고, 능산리의 고분들은 중앙 및 좌, 우의 세 무리 고분군으로 나눌 수 있다. 1960년대에 복원한 중앙 지역, 2016년에 발굴 조사를 진행한 서쪽 지역과 현재 마을이 자리 잡고 있는 동쪽 지역으로 구성돼 있다. 일제강점기에 3차례 조사된 바 있으며 중앙 지역에 8기, 동쪽 지역에 5기, 서쪽 지역에 7기가 남아 있다. 또한 무덤들 서쪽에서 발굴된 절터에서 ..
123사비 공예마을은 부여의 지역브랜드이다. 123은 옛 백제 수도 사비가 123년 동안 찬란한 백제의 문화를 꽃피웠던 기간을 의미하고 사비는 부여의 옛 이름으로 백제의 공예정신을 이어나갈 수 있는 바람을 담아 공예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해 만든 브랜드이다.
느티나무 연가 / 이해인수녀님 사계절 내내햇볕과 비와 바람을 맞으며늘 곁에 계신 당신을 사랑합니다. 말보다 깊은 침묵으로이해의 눈길을 준당신이 가까이 있어오늘도 행복합니다 신을 향한 나의 사랑이조금 더 높아지고이웃을 향한 나의 사랑이조금 더 깊어진 기쁨! 이 기쁨은 당신이 나에게오랜 세월 가르쳐서 선물한초록빛 기쁨입니다. 참을성, 넉넉함, 따뜻함으로긴 세월 기다릴 줄 아는엄마 같고 애인 같은 당신 고맙습니다. 나도 당신을 닮아품이 넓은 사랑을다시 시작하게 해주세요, 꼭!
The Legend Of The Zelkova Tree / kwoonlee There's a big zelkova tree on the hill,Long ago, in my child days at home town.Under it my grandmother waited me on the hillWhenever I visited her house in home town. The old men played the chess, in summer,On the low wooden bench, under the tree.The children made the snow men, in winter And a shaman'd performed the rite at the tree. One day the tree was..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삽티로 489-6에 위치하고 있는 삽티성지는 성 황석두의 양자 황기원 안드레와 황천일 요한의 주도하에 공동체를 이룬 곳이다. 삽티(揷峙)는 삽고개라고도 하며, 인근의 다른 교우촌들과 연결망을 형성하여 신앙 활동을 영위하던 곳이었다. 삽티성지에는 성인 안장지와 안장기념 정원, 성 루카 황석두 기념경당 등이 있다. 성 루카 황석두 기념경당은 '성석당(聖石堂)'이라고 하며 성석당 뒤쪽에는 십자가의 길이 있다. 그리고 성당 왼쪽길을 따라 오르면 묘원,기념비 안내표지, 야외 제대가 조성되어 있는 ‘황석원(黃錫園)’이 있다. 야외 제대 뒤쪽에는 황석두 루카의 세례 받은 후의 신앙고백과 순교할 때의 신앙고백이 비석에 새겨져 있으며 그 뒤로 높다란 나무 십자가 있다.
‘삽고개’라고도 불리는 삽티(揷峙)는 박해시대의 교우촌으로 부여군 홍산면 상천리와 내산면 금지리 사이의 경계에 있는 고개 이름이다. 부여군과 보령시의 경계를 이루는 월명산과 천보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남쪽과 북쪽 계곡에는 조선시대에 교우들이 숨어 살면서 삽고개를 사이에 두고 연통하며 신앙생활을 하였다. 삽고개로부터 남쪽으로 흘러내린 계곡에도 교우들이 숨어 살았는데 이곳에 ‘삽티 교우촌’이 있었다. 이곳 삽티 계곡에는 1790년대 이후 천주교 신자들이 박해를 피하여 숨어 살았다. 한국 천주교회의 초기 선각자 이존창 알로이시오 공사가 선생이 고향 예산 여사울에서 배척 받은 후 홍산 지방으로 피신하였습니다. 이존창 선생의 비밀 선교활동에 의해 홍산지방에서 천주교 신앙을 지니게 된 교우들이 숨어 살기 시작한 곳..
가림성 느티나무는 일명 사랑나무로 알려져있는 나무다. 높이 22m, 가슴 높이 둘레 5.4m이고, 나무의 가지와 잎이 달려 있는 부분의 폭은 동서 방향 20.2m, 남북 방향 23.5m에 이르며, 수령은 400년 이상으로 추정된다. 경관성, 심미성, 역사성을 인정받아 2021년 8월 9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