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다

나는 나다

  • 분류 전체보기 (3751) N
    • 프롤로그 (10)
    • Sport (4)
      • Baseball (1)
      • Football (3)
    • 블랙야크100대명산 (90)
      • 산에 관한 사진 (52)
    • 국내여행 (1308) N
      • 서울시 (2)
      • 5궁종묘사직 (3)
      • 경기도 (107) N
      • 충청도 (493) N
      • 강원도 (547)
      • 경상도 (26)
      • 전라도 (120)
      • 제주도 (2)
    • 해외여행 (122)
      • 서유럽 (25)
      • 동유럽 (36)
      • 북유럽 (10)
      • 스페인 (26)
      • 일본 (21)
      • 호주 (1)
    • 창작사진 (1720)
      • 특별한사진 스토리텔링 (40)
      • 사람 연인 친구 부부 (101)
      • 풍경 들판 길 논 밭 (263)
      • 조각 동상 작품 소품 조형물 (342)
      • 건물 다리 조명 가구 (170)
      • 꽃 나무 식물 단풍 숲 (269)
      • 조류 어류 동물 곤충 (56)
      • 바다 호수 강 연못 해변 갯벌 (128)
      • 일몰 일출 해 달 야경 (31)
      • 눈 비 안개 구름 하늘 (23)
      • 배 비행기 기차 공항 항구 (36)
      • 자전거 자동차 곤돌라 (7)
      • 카페 식당 레스토랑 주점 (31)
      • 벽화 그림 간판 표지판 (75)
      • 거리 골목 도시 가로등 (16)
      • 궁 사찰 고건축 유물 유적 (102)
      • 건축 건설현장 (2)
      • 참고사진 (22)
    • 자화상 (69) N
    • 자작글 (190)
      • 산문 (61)
      • 자작시 (68)
      • 일기 (61)
    • 좋은시 (75)
    • 좋은글 (46)
    • 영화,드라마,소설 (13)
    • 가톨릭 (64)
    • 에필로그 (32)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나는 나다

컨텐츠 검색

태그

전북 아산시 강원도 태안군 하슬라아트월드 고성군 젊은달와이파크 경기도 평창군 서울시 양양군 홍성군 하슬라아트월드뮤지엄 속초시 강릉시 논산시 충남 영월군 충북 보령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백제문로 455(9)

  • 천정전(天政殿) - 백제문화단지 - 부여군 - 충남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백제문로 455에 위치하고 있는 백제문화단지는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우던 백제역사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자 건립한 한국 최대 규모의 역사테마파크이다. 총 100여만 평 규모의 넓은 부지 위에 왕궁을 재현한 사비궁(泗沘宮)과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어졌다는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서 발굴된 유구의 규모와 동일하게 재현한 왕실 사찰인 능사(陵寺)가 건립되었다. 천정전(天政殿)은 사비궁의 정전으로 국가의 큰 정사를 하늘에 고하여 결정했다는 천정대에서 이름을 따왔다. 왕의 즉위 의례, 신년 행사 등 각종 국가 의식이 거행되고, 외국의 사신을 맞이하는 사비궁 내의 가장 중요한 건물이었다.

    2023.11.01
  • 천정문(天政門) - 백제문화단지 - 부여군 - 충남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백제문로 455에 위치하고 있는 백제문화단지는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우던 백제역사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자 건립한 한국 최대 규모의 역사테마파크이다. 총 100여만 평 규모의 넓은 부지 위에 왕궁을 재현한 사비궁(泗沘宮)과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어졌다는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서 발굴된 유구의 규모와 동일하게 재현한 왕실 사찰인 능사(陵寺)가 건립되었다. 천정문(天政門)은 사비궁 중궁(中宮)의 정문이다.

    2023.11.01
  • 정양문(正陽門) - 백제문화단지 - 부여군 - 충남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백제문로 455에 위치하고 있는 백제문화단지는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우던 백제역사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자 건립한 한국 최대 규모의 역사테마파크이다. 총 100여만 평 규모의 넓은 부지 위에 왕궁을 재현한 사비궁(泗沘宮) 과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어졌다는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서 발굴된 유구의 규모와 동일하게 재현한 왕실 사찰인 능사(陵寺)가 건립되었다. 정양문(正陽門)은 백제문화단지 정문이다. 하루 중 모든 기운이 왕성한 때를 지칭하는 정양(正陽)에서 이름을 따왔다. 뒤에는 넓은 광장이 있다.

    2023.11.01
  • 왕과 왕비의 대례복 - 백제문화단지 - 부여군 - 충남

    국가의 중대한 의식 때 입던 예복 대례복은 왕과 왕비가 같은 옷이다. 단지 의관과 신발만이 다른게 특징이다.

    2023.11.01
  • 왕비 평상복 - 백제문화단지 - 부여군 - 충남

    2023.11.01
  • 왕 평상복 - 백제문화단지 - 부여군 - 충남

    2023.11.01
  • 위례성(慰禮城) - 백제문화단지 - 부여군 - 충남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백제문로 455에 위치하고 있는 백제문화단지는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우던 백제역사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자 건립한 한국 최대 규모의 역사테마파크이다. 총 100여만 평 규모의 넓은 부지 위에 왕궁을 재현한 사비궁(泗沘宮)과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어졌다는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서 발굴된 유구의 규모와 동일하게 재현한 왕실 사찰인 능사(陵寺)가 건립되었다. 백제문화단지내의 위례성(慰禮城)은 한성 백제시기(B.C 18~A.D 475)의 도읍 모습을 재현한 곳이다. 고구려에서 남하한 십제(十濟)의 온조왕이 한성에 자리 잡고 비류왕의 미추홀국(彌鄒忽國)을 통합하고 난 후 백제(百濟)의 수도로 정한 곳이다. 건물로는 남문, 움집-농경생활, 움집-식생활, 움집-직조생활, 고상가옥, ..

    2023.11.01
  • 고분공원 - 백제문화단지 - 부여군 - 충남

    백제시대의 대표적 고분 형태를 보여주는 곳이다. 백제문화단지 화계조성부지에서 출토된 4기와 부여 은산면 가중리에서 출토된 3기 등 총 7기가 이전복원 되어 있다. 횡구식 석곽분 백제시대 고분의 한 종류이다. 관은 돌을 이용해 장방형으로 둘러쌌으며 내부는 육각형 구조로 활석을 사용하였으며 바닥은 잡석을 깔았다. 횡혈식 석실분1 석실의 구조가 완전한 형태이며 장방형 평면으로 연도부, 묘도, 배수구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는 육각형 구조이며 천정 덮개석은 대형판석 3매를 사용하였다. 묘실은 화강석 판석을 사용하였다. 횡혈식 석실분2 평면형태는 장방형이며 연도부와 묘도, 배수구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는 육각형 구조이며 천정 덮개석은 판석 6매를 사용하였다. 잘 다듬은 판석을 사용하였다. 횡혈식 석실분3 평면형태는..

    2023.11.01
  • 능사(陵寺) - 백제문화단지 - 부여군 - 충남

    능사(陵寺)는 백제의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한 백제 왕실 사찰로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서 발굴된 유구의 규모와 동일하게 건물 사이 간격, 기둥과 기둥사이의 간격등을 1:1로 재현하였다. 능사는 발굴조사 걀과 중문, 탑, 금당, 강당이 일직선으로 배치된 백제시대 대표적인 가람양식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능사는 문화재 지정명칭은 '능산리사지'이나 백제 성왕의 원찰로서 왕릉의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능사로 칭하였다. 수경정(水鏡亭) 수경정(水鏡亭) 대통문(大通門) 능사의 중문이다. 뜻이 크게 통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아금강역사 / 밀적금강((密迹金剛) 손에 금강저(金剛杵)라는 무기를 가지고 늘 부처를 호위한다는 야차신(夜叉神). 보통 절 문의 왼쪽에 세운다. 금강역사(金剛力士) 대체로 탑 또는 사찰..

    2023.11.01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