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효공주 묘 - 발해역사관 - 속초시립박물관 - 속초시 - 강원도

2024. 10. 19. 09:06국내여행/강원도

 

 

정효공주(貞孝公主)는 제3대 문왕(文王)의 넷째 딸로서, 757년에 태어나 792 6월에  중경 현덕부 의 도성 인 서고성(西古城)의 숙소에서 36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그녀는 남편과 딸을 잃은 뒤에도 고결한정조를 지키며 살았다.

 

그해 겨울, 정효공주는 남편 곁에 묻혔다. 이미 15년 전에 둘째 딸 정혜공주를 잃었던 아버지 문왕은 조회마저 열지 않고 침전(寢殿)에 틀어박힌 채 몹시 비통해했다. 그는 온 나라에 노래와 춤추는 것도 중지시키고 자는 것과 먹는 것조차 잊어버린 가운데 관청에서는 부부합장을 준비했다.

 

무덤은 서쪽 용두산에서 갈라져 나온 산줄기가 다시 낮은 언덕을 이룬 곳에 있었다. 주변에는 개오동나무가 무성하고 아래에는 강물이 굽이치고 있었다. 사람들의 목메어 우는 소리가 상여꾼들의 발길 따라 머뭇거리고, 영구차를 끄는 말도 뒤를 돌아보며 울부짖는다. 상여꾼들은 무덤 앞에서 잠시 영구를 멈췄다가 해가 떨어진 후 깊고 어두운 무덤 속에 안장했다.

 

정효공주묘(貞孝公主墓)는 발해 전축분(벽돌무덤)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1980년에 발굴 조사된 중국 길림성 화룡현 용수향 용해촌 서쪽의 용두산 고분군에 위치하고 있다. 정효공주묘는 남북향으로, 방향은 170도이며, 벽돌과 판석을 이용하여 축조하였고, 묘실(墓室), 용도(甬道), 묘문(墓門), 묘도(墓道), 지면탑(地面塔)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덤의 남북 길이 약 15m, 동서 너비 약 7m이며, 묘문(墓門)뒤에는 정효공주의 묘지석이 세워져 있다.

 

정효공주묘에서는 공주 부부의 유골과 사후세계에서도 공주를 모실수 있게 무사(武士),시위(侍衛),내시(內侍),악사 등 12인의 인물 벽화, 묘지석(전문 725자), 도용 조각, 글씨가 새겨진 벽돌 등이 발견되었다.

 

정효공주 묘비는 높이 105, 너비는 58, 두께는 26로 되어있다. (序文)과 명문(銘文)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문에는 정효공주의 출신, 품성과 용모, 지혜, 출가 및 부부 생활, 남편과 어린 딸의 죽음, 남편 사후의 수절, 죽음 및 장례에 관한 내용 등이 기록되어 있다. 명문에는 문왕의 어진 정치, 공주의 아름다움과 슬기로움, 행복한 결혼생활, 남편 사후의 정절, 공주의 죽음, 애도 등과 관련된 6가지 명문이 새겨져 있다.

 

비문전문

 

夫緬覽唐書 嬀汭降帝女之濱 愽詳丘傳 魯館開王姬之筵 豈非婦德昭昭 譽名期於有後 母儀穆穆 餘慶集於無疆 襲祉之稱 其斯之謂也 公主者我大興寶曆孝感金輪聖法大王之第四女也 惟祖惟父 王化所興盛烈戎功 可得而論焉 若乃乘時御辨明齊日月之照臨 立極握機 仁均乾坤之覆載 配重華而肖夏禹 陶殷湯而韜周文 自天祐之 威如之吉

 

무릇 옛날에 살펴본 중국의 <서경(書經)>에서 규수(嬀水 ; 순임금이 살던 곳)의 어귀는 황제의 딸이 강림한 물가였다고 하는데, <좌전(左傳)>에서 넓고 자세히 살펴보면 노나라 객관에서 왕의 딸을 위한 주연을 열었다. 어찌 부덕(婦德)이 밝아 명예로운 이름이 후세에 기약되지 않겠는가? 어머니로서 자세가 신중하고 공경스러워 조상의 은덕(恩德)이 끝없이 모였으니, 조상의 복을 물려받은 것이라고 일컫는 것은 아마도 이를 말함이다.

 

공주는 우리 대흥보력효감금륜성법대왕(文王)의 넷째 딸이다.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임금이 되시어 번창하게 되었고, 그 큰 공이 빛나는 바는 가히 깨달아서 말할 수 있다. 이에 때에 따라 임금이 분명하게 시비를 가리면 해와 달의 비춤이 질서 정연하였고, 방편을 잡아 극진히 추진하면 인덕(仁德)이 천지에 고르게 덮이고 실렸다. 우나라 순임금과 짝하고 하나라 우임금과 닮았으며 은나라 탕왕을 길렀고 주나라 문왕을 감추었으니 하늘이 도와서 위엄이 닿아 길한 것이다.

 

公主稟靈氣於巫岳 感神仙於洛川 生於深宮 幼聞婉嫕 瓌姿稀遇 曄似瓊樹之叢花 瑞質絶倫溫 如崑峯之片玉 早受女師之敎 克比思齊 每慕曹家之風 敦詩悅禮 辨慧獨步 雅性自然 之子好仇 嫁于君子 摽同車之密義 葉家人之永貞 柔恭且都 履愼謙謙 簫樓之上 韻調雙鳳之聲 鏡臺之中 舞狀兩鸞之影

 

공주는 무산(巫山)의 신령스러운 기운을 받고, 낙수(洛水)의 신선이 감응하여 깊은 궁에서 태어났는데 어려서 예쁘고 유순하였다. 옥 같은 모습은 보기 드물게 경수(瓊樹)의 떨기 꽃처럼 빛나서 상서로운 바탕은 매우 떳떳하고 온화하여 마치 곤륜산 봉우리의 한 조각 옥과 같았다. 일찍이 여스승의 가르침을 받아 사제’(思齊 ; <시경(詩經)> ‘대아(大雅)’에 있는 문왕(文王)과 후비(后妃)의 덕을 찬미한 노래.)와 견줄 만했고, 늘 조대가(曹大家 ; 후한(後漢)의 반소(班昭)가 조가(曹家)에 출가하여 <女誡(여계)>를 지었음)의 풍습을 사모하여 <시경(詩經)>에 힘쓰고 <예기(禮記)>를 심복했다.

 

밝히는 지혜는 독보적이었고 아름다운 품성은 타고나서 자식처럼 원수를 사랑하였으며 군자에게 시집을 갔는데, 같은 수레를 탄 친밀한 뜻을 나타내며 엽씨 집안의 사람으로서 오랫동안 지조가 곧았고, 유순하고 공손함 또한 모두 성하였으며 몸가짐과 언행을 삼가고 겸손하였으니, 퉁소를 부는 누각 위에 나는 봉황 한 쌍의 운조 소리였고 경대(鏡臺) 속에서 한 쌍의 난새가 춤을 추는 모습이었다.

 

動響環珮 留情組紃 黼藻至言 琢磨潔節 繼敬武於勝里 擬魯元於豪門 琴瑟之和 蓀蕙之馥 誰謂夫聳先化無終助政之謨 稚女又夭 未延弄瓦之日 公主出織室而灑淚 望空閨而結愁 六行孔備 三從是亮 學恭姜之信矢 銜杞婦之哀悽 悽惠于聖人聿懷閫德 而長途未半 隙駒疾馳 逝水成川 藏舟易動

 

움직이는 소리는 허리에 찬 옥패의 소리였으며 머무를 때의 마음은 베를 짜는 듯하였고, 이치에 맞는 말은 수를 놓은 무늬와 같으면서 고결한 절개를 닦았다. () 원제(元帝)의 딸 경무(敬武)가 살았던 뛰어난 곳을 이어받았고, () 고조(高祖) 유방의 딸 노원(魯元)의 가문에 비견되면서 금슬의 화합은 창포와 혜초의 향기였다. 지아비가 먼저 돌아가서 끝없이 정사를 지략으로 도울 줄 누가 알았겠는가? 어린 딸 또한 일찍 죽어 미처 실패를 쥐어주는 날이 없었으니, 공주가 직실(織室)을 나와 눈물을 쏟았고 안방에서 허공을 바라보며 수심에 젖었다.

 

육행(六行 ; 효도,우애,화목,혼인,믿음,구휼)을 크게 갖추었고 삼종(三從)의 도가 무릇 분명하였으니 공강(共姜 ; 세자 공백(共伯)의 처로 재가하지 않았음)을 배운 신조를 지켜 기부(杞婦 ; 춘추시대 제()나라 기량(杞梁)의 부인으로 남편이 전사하자 그 시체를 안고 성 아래에서 통곡하니 성곽이 내려앉았다.)처럼 품은 마음이 애처로웠다. 애처럽게도 성인의 은혜를 받아 스스로 부덕(婦德)을 품었는데 먼 인생의 절반이 되지도 않았는데 세월은 빠르게 질주하여 흘러간 물이 내를 이루면서 숨겨진 덕이 다시 움직였다.

 

粵以大興五十六年夏六月九日壬辰 終於外第 春秋三十六 諡曰貞孝公主 其年冬十一月廿八日己卯 陪葬於染谷之西原禮也 皇上罷朝 興慟避寢絶懸 喪事之儀 命官備矣 挽郎鳴咽遵阡陌 而盤桓轅馬 悲鳴顧郊野 而低昂喻以鄂 長榮越崇 陵方之平陽 恩加立厝 荒山之曲 松檟森以成 行古河之 隈泉堂邃 而永翳惜千金於一別 留尺石於萬齡 乃勒銘曰

 

! 대흥(大興) 56(792) 여름 69일 임진일에 궁 밖 사가에서 돌아가시니 춘추 36세였고 시호를 정효공주라 하였고, 그해 겨울 1128일 기묘일에 염곡(染谷)의 서쪽 언덕에 배장(陪葬)을 하고 예를 올렸다. 황상께서 조회를 파하시고 슬픔이 일어 잠을 못 이루며 매달렸고, 장례의 의식을 관청에 명하여 준비하였다.

 

애도하는 인파가 목메어 울며 사방에서 따랐고, 끄는 말이 배회하다가 넓은 들판을 돌아보며 슬피 울었다. 머리를 숙이면서도 곧은 말을 하는 밝게 깨우친 오랜 영예는 멀고 높았으니, 능이 있는 곳이 고른 양지(陽地)라 그 은혜가 즉시 더 섞여진다. 황산(荒山)은 굽이쳐서 소나무와 개오동나무가 숲을 이루며 옛 강은 흐르고 있고 샘이 솟는 물굽이에 명당은 깊은데, 영원히 가로막혀버린 천금 같은 한 이별이 애석해서 오래된 돌에 글을 지어 새겨서 말한다.

 

不顯烈祖 功等一匡 明賞愼罰 奄有四方 爰及君父 壽考無疆 對越三五 囊括成康 其一 惟主之生 幼而洵美 聰慧非常 博聞高視 北禁羽儀 東宮之姉 如玉之顏 蕣華可比 其二 漢上之靈 高唐之精 婉嫕之熊 閫訓玆成 嬪于君子 柔順顯名 鴛鴦成對 鳳凰和鳴 其三

 

드러나지 않은 열조의 공은 어지러운 천하를 바로 잡았는데, 상은 드러내고 벌을 삼가니 사방을 남기지 않고 다 가지셨네. 이에 임금에게까지 미쳐 만수무강(萬壽無疆)하시면서, 삼황오제를 뛰어넘고 성왕(成王)과 강왕(康王)의 정치를 망라하시니 그것이 첫째요, 공주의 탄생을 생각하면 어린데도 참으로 아름다웠고 총명하고 슬기로움이 비상하여 널리 듣고 멀리 보았으니, 궁궐의 모범이고 동궁의 윗누이로 옥 같은 얼굴이 무궁화에 비견되니 그것이 둘째요, 한강(漢江)의 신령과 고당(高唐)의 정기가 있어 아름답고 정숙한 자태에 왕후와 같은 가르침을 받으며 어른이 되어 군자(君子)에게 시집가서 유순하기로 이름났고 원앙으로 짝을 이루어 봉황의 어울린 소리를 냈으니 그것이 셋째요,

 

所天早化 幽明殊途 雙鸞忽背 兩劍永孤 篤於潔信 載史應圖 惟德之行 居貞且都 其四 愧桑中詠 愛栢舟詩 玄仁匪悅 白駒疾辭 奠殯已畢 卽還靈轜 魂歸人逝 角咽笳悲 其五. 河水之畔 斷山之邊 夜臺何曉 荒隴幾年 森森古樹 蒼蒼野煙 泉扃俄閟 空積悽然 其六

 

남편이 일찍 죽어 생사(生死)의 길을 달리하니 한 쌍의 난새가 홀연히 등을 돌렸고, 두 개의 검이 영원히 멀어졌는데, 고결한 신조가 두터워 사서(史書)에 실리고 응당 그림을 그려 덕행(德行)을 기렸으며, 정조 있게 사는 게 또한 아름다웠으니 그것이 네 번째요, 음란함을 노래하는 것을 부끄러워하고 정조(情操)의 시를 좋아하며 크게 어질었고, 아름다운 광채를 사랑하고 어진 인재는 급히 청했으니 터를 정해 안치를 이미 마쳤는데 상여가 돌아서 혼이 되돌아 가 사람도 세상을 떠나니, 뿔피리가 목메이고 풀피리가 슬퍼하니 그것이 다섯째요, 강물의 가장자리 산이 끝나는 곳에 긴 밤을 어찌 밝히고 봉분은 몇 해나 갈것인가? 빽빽이 우거진 고목에 들판은 연기로 자욱한데, 황천의 빗장이 갑자기 닫히니 공허한 마음이 쌓여 구슬퍼지니 이것이 여섯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