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608)
-
사랑은 움직이는 거야 - 그림같은 수목원 - 홍성군 - 충남
그림같은 수목원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이 작품은 사랑은 움직이는 것이고 관심이 멀어지면 사랑은 날개를 달고 떠난다 라는 의미의 조형물이다.
2024.05.02 -
일본목련 - 그림같은 수목원 - 광천읍 - 홍성군 - 충남
일본 및 중국 원산의 낙엽 큰키나무로 높이 15-30m이다. 잎은 가지 위쪽에 모여 달리며, 도란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으로 길이 20-40cm, 폭 10-25cm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뒷면은 흰빛을 띠고 털이 조금 난다. 꽃은 5-6월에 피고 가지 끝에 1개씩 위를 향해 달리며, 지름 15cm쯤이고 향기가 난다. 꽃잎은 6-9장, 도란형,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다. 열매는 골돌취과이며, 9-10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식재하며, 껍질은 후박이라 하여 약용한다.
2024.05.02 -
오동나무 - 그림같은 수목원 - 광천읍 - 홍성군 - 충남
오동나무는 원래 머귀나무로 이 머귀나무의 머귀가 오(梧), 나무가 머귀 동(桐)이기 때문에 한자로 오동(梧桐)이라 한다. 오동나무는 15~20년이면 쓸만한 재목이 된다. 1년에 나이테 지름이 2~3cm나 되는 초고속 성장을 하지만 세포 하나하나를 쓸모있게 만들어 넣을 수 있는 오동나무의 능력은 그야말로 '슈퍼트리'이다. 그래서 자람의 속도에 비하여 훨씬 단단한 나무가 된다. 습기를 빨아들이는 성질도 적고 잘 썩지 않으며 불에 잘 타지 않는 성질까지 있다. 당연히 쓰임새가 넓어서 장롱, 문갑, 소반, 목침, 상구 등 생활용품에 오동나무가 쓰이지 않은 곳이 없다. 악기를 만들 때 공명판의 기능은 다른 나무들은 감히 널 볼 수도 없을 만큼 독보적이다. 가야금, 거문고, 비파 등 우리의 전통악기는 오동나무라야..
2024.05.02 -
튜립나무(백합나무) - 그림같은수목원 - 광천읍 - 홍성군 - 충남
튤립나무는 목련과의 낙엽교목으로, 미국 동부 지역에서 자라는 나무를 1900년대 초에 국내에 들어왔다. 성장이 빨라 목재용으로 많이 키우지만, 공해에 강해 도로변이나 공원 등 관상용으로도 심어져있다. 높이는 최대 60m까지 자랄 수 있으며, 잎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수평으로 자른 듯하며, 잎자루가 길고 포플러와 비하다. 꽃은 5월 말부터 6월 사이에 노란 꽃을 피우고, 크기는 5∼6cm 정도로 오렌지색 줄무늬를 가진 6개의 꽃잎이 달려있다 튤립나무는 백합나무라고도 하며 꽃말은 '순결, 변함없는 사랑, 깨끗한 사랑, 신성, 희생'이다. 빛깔별로 꽃말이 달라지며, 하얀색은 순수한 사랑, 순결, 깨끗한 사랑이고, 분홍색은 핑크빛 사랑, 빨간색은 열정적이고 깨끗함이며, 주황색은 명랑한 사랑이다.
2024.05.02 -
오동나무와 튜립나무(백합나무) - 그림같은 수목원 - 광천읍 - 홍성군 - 충남
튤립나무는 목련과의 낙엽교목으로, 미국 동부 지역에서 자라는 나무를 1900년대 초에 국내에 들어왔다. 성장이 빨라 목재용으로 많이 키우지만, 공해에 강해 도로변이나 공원 등 관상용으로도 심어져있다. 높이는 최대 60m까지 자랄 수 있으며, 잎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수평으로 자른 듯하며, 잎자루가 길고 포플러와 비하다. 꽃은 5월 말부터 6월 사이에 노란 꽃을 피우고, 크기는 5∼6cm 정도로 오렌지색 줄무늬를 가진 6개의 꽃잎이 달려있다 튤립나무는 백합나무라고도 하며 꽃말은 '순결, 변함없는 사랑, 깨끗한 사랑, 신성, 희생'이다. 빛깔별로 꽃말이 달라지며, 하얀색은 순수한 사랑, 순결, 깨끗한 사랑이고, 분홍색은 핑크빛 사랑, 빨간색은 열정적이고 깨끗함이며, 주황색은 명랑한 사랑이다. 오동나무는..
2024.05.02 -
그림같은 수목원 - 광천읍 - 홍성군 - 충남
충남 홍성군 광천읍 충서로400번길 102-36에 위치하고 있는 '그림같은 수목원'은 3만평 정도의 대지위에 목본류 460여종 갖추어 총 1330여종을 보유하고 있는 수목원이다. '그림같은 수목원'은 서해와 근접해있어 바람이 많고 습도도 높은 편이라 다른 지역에 비해 좀 낮은 기온차로 꽃의 개화시기도 2주 정도 늦어지는 지리적인 특징이 있다. 이곳에는 야생화원, 온실식물원, 연꽃정원, 암석원, 전망대, 미술관, 연상홍길, 폭포, 전통가구전시장, 자연생태원, 카페 등의 시설이 있다.
2024.05.02 -
그림같은 수목원 - 광천읍 - 홍성군 - 충남
충남 홍성군 광천읍 충서로400번길 102-36에 위치하고 있는 '그림같은 수목원'은 3만평 정도의 대지위에 목본류 460여종 갖추어 총 1330여종을 보유하고 있는 수목원이다. '그림같은 수목원'은 서해와 근접해있어 바람이 많고 습도도 높은 편이라 다른 지역에 비해 좀 낮은 기온차로 꽃의 개화시기도 2주 정도 늦어지는 지리적인 특징이 있다. 이곳에는 야생화원, 온실식물원, 연꽃정원, 암석원, 전망대, 미술관, 연상홍길, 폭포, 전통가구전시장, 자연생태원, 카페 등의 시설이 있다.
2024.05.01 -
그림같은 수목원 - 광천읍 - 홍성군 - 충남
충남 홍성군 광천읍 충서로400번길 102-36에 위치하고 있는 '그림같은 수목원'은 3만평 정도의 대지위에 목본류 460여종 갖추어 총 1330여종을 보유하고 있는 수목원이다. '그림같은 수목원'은 서해와 근접해있어 바람이 많고 습도도 높은 편이라 다른 지역에 비해 좀 낮은 기온차로 꽃의 개화시기도 2주 정도 늦어지는 지리적인 특징이 있다. 이곳에는 야생화원, 온실식물원, 연꽃정원, 암석원, 전망대, 미술관, 연상홍길, 폭포, 전통가구전시장, 자연생태원, 카페 등의 시설이 있다.
2024.05.01 -
폭포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병천읍 - 천안시 -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천지산길 175에 위치하고 있는 아름다운정원 화수목은 대한민국 민간정원 1호이다. 100m 인공폭포와 석부작길, 탐라식물원, 명품분재원, 테마정원 등의 다양한 힐링공간과 레스토랑, 베이커리카페 등 맛있는 식사가 가능한 가능한 곳이며, 천안 유일 야외가든웨딩 과 실내연회등도 가능한 곳이다. ‘석부작(石附作)’은 돌에 나무를 심거나 붙여, 나무가 바위나 절벽에 뿌리 내린 자연의 풍광을 표현하거나, 돌과 나무의 어울림을 만들어 작가의 의도를 표출하고, 조형적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석부작에 적합한 식물의 종류로는 관목류, 사초종류, 이끼종류, 양치류, 야생화종류 등이 있으며, 현무암(화산석, 송이석), 평석, 황호석 등 다양한 돌을 활용하여 만들 수 있다.
2024.05.01 -
수국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병천읍 - 천안시 - 충남
수국(水菊)은 동아시아 원산의 갈잎 떨기나무이다. 수국 꽃송이는 분단화 또는 수구화라고 불리기고 하고, 백거이와 관련되어 자양화나 팔선화라고 하기도 한다. 수국은 꽃이 필 때는 녹색이 들어간 흰 꽃이었다가 하늘색으로 변하고 나중엔 붉은 기운이 도는 자색으로 바뀌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수국의 꽃말은 파란색은 냉정, 거만, 무정 핑크색은 소녀의 꿈 보라색은 진심, 변덕 하얀색은 상냥함이다
2024.05.01 -
클레마티스 그랜디플로라(Clematis Grandiflora)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천안시 - 충남
클레마티스 그랜디플로라(Clematis Grandiflora)는 유럽의 클레마티스 중 하나로, 꽃이 크고 색채가 풍부한 양종의 꽃이다. 클레마티스는 다년초 숙근초로써 전세계 200여종 이상 자생하고 있다. 꽃이 피고 지면 줄기의 전지를 해줌으로써 새순에서 다시 꽃이 피는것이 특징이다. 덩쿨식물로 4~5m자라며 영하 25도에서 생육가능하다. 품종마다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는 꽃의 향과 관상가치가 높다. 꽃말은 당신의 마음은 진실로 아름답다, 고결하다 다.
2024.05.01 -
루피너스(Lupine)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천안시 - 충남
루피너스(Lupinus)는 늦은 봄부터 초여름까지 정원을 장식하는 꽃이다, 높이는 70cm 정도이며, 손바닥처럼 생긴 잎사귀 위에 튼튼한 줄기에서 자라며 흰색, 보라색, 노란색, 분홍색, 파란색, 보라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핀다. 또한, 긴 개화 기간을 자랑하며, 20도 이상의 따뜻한 온도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미국, 아프리카, 지중해 연안 등지에 약 300여 종이 분포한다. 꽃말은 모성애, 행복, 탐욕, 공상등이 있다.
2024.05.01 -
야외가든웨딩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병천읍 - 천안시 -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천지산길 175에 위치하고 있는 아름다운정원 화수목은 대한민국 민간정원 1호이다. 100m 인공폭포와 석부작길, 탐라식물원, 명품분재원, 테마정원 등의 다양한 힐링공간과 레스토랑, 베이커리카페 등 맛있는 식사가 가능한 가능한 곳이며, 천안 유일 야외가든웨딩 과 실내연회등도 가능한 곳이다. ‘석부작(石附作)’은 돌에 나무를 심거나 붙여, 나무가 바위나 절벽에 뿌리 내린 자연의 풍광을 표현하거나, 돌과 나무의 어울림을 만들어 작가의 의도를 표출하고, 조형적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석부작에 적합한 식물의 종류로는 관목류, 사초종류, 이끼종류, 양치류, 야생화종류 등이 있으며, 현무암(화산석, 송이석), 평석, 황호석 등 다양한 돌을 활용하여 만들 수 있다.
2024.05.01 -
석부작(石附作) - 아름다운 정원 화수목 - 병천읍 - 천안시 -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천지산길 175에 위치하고 있는 아름다운정원 화수목은 대한민국 민간정원 1호이다. 100m 인공폭포와 석부작길, 탐라식물원, 명품분재원, 테마정원 등의 다양한 힐링공간과 레스토랑, 베이커리카페 등 맛있는 식사가 가능한 가능한 곳이며, 천안 유일 야외가든웨딩 과 실내연회등도 가능한 곳이다. ‘석부작(石附作)’은 돌에 나무를 심거나 붙여, 나무가 바위나 절벽에 뿌리 내린 자연의 풍광을 표현하거나, 돌과 나무의 어울림을 만들어 작가의 의도를 표출하고, 조형적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석부작에 적합한 식물의 종류로는 관목류, 사초종류, 이끼종류, 양치류, 야생화종류 등이 있으며, 현무암(화산석, 송이석), 평석, 황호석 등 다양한 돌을 활용하여 만들 수 있다.
2024.05.01 -
아름다운 정원 화수목3 - 병천읍 - 천안시 -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천지산길 175에 위치하고 있는 아름다운정원 화수목은 대한민국 민간정원 1호이다. 100m 인공폭포와 석부작길, 탐라식물원, 명품분재원, 테마정원 등의 다양한 힐링공간과 레스토랑, 베이커리카페 등 맛있는 식사가 가능한 가능한 곳이며, 천안 유일 야외가든웨딩 과 실내연회등도 가능한 곳이다. ‘석부작(石附作)’은 돌에 나무를 심거나 붙여, 나무가 바위나 절벽에 뿌리 내린 자연의 풍광을 표현하거나, 돌과 나무의 어울림을 만들어 작가의 의도를 표출하고, 조형적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석부작에 적합한 식물의 종류로는 관목류, 사초종류, 이끼종류, 양치류, 야생화종류 등이 있으며, 현무암(화산석, 송이석), 평석, 황호석 등 다양한 돌을 활용하여 만들 수 있다.
2024.05.01 -
아름다운 정원 화수목2 - 병천읍 - 천안시 -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천지산길 175에 위치하고 있는 아름다운정원 화수목은 대한민국 민간정원 1호이다. 100m 인공폭포와 석부작길, 탐라식물원, 명품분재원, 테마정원 등의 다양한 힐링공간과 레스토랑, 베이커리카페 등 맛있는 식사가 가능한 가능한 곳이며, 천안 유일 야외가든웨딩 과 실내연회등도 가능한 곳이다. ‘석부작(石附作)’은 돌에 나무를 심거나 붙여, 나무가 바위나 절벽에 뿌리 내린 자연의 풍광을 표현하거나, 돌과 나무의 어울림을 만들어 작가의 의도를 표출하고, 조형적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석부작에 적합한 식물의 종류로는 관목류, 사초종류, 이끼종류, 양치류, 야생화종류 등이 있으며, 현무암(화산석, 송이석), 평석, 황호석 등 다양한 돌을 활용하여 만들 수 있다.
2024.05.01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1 - 목천읍 - 천안시 -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천지산길 175에 위치하고 있는 아름다운정원 화수목은 대한민국 민간정원 1호이다. 100m 인공폭포와 석부작길, 탐라식물원, 명품분재원, 테마정원 등의 다양한 힐링공간과 레스토랑, 베이커리카페 등 맛있는 식사가 가능한 가능한 곳이며, 천안 유일 야외가든웨딩 과 실내연회등도 가능한 곳이다. ‘석부작(石附作)’은 돌에 나무를 심거나 붙여, 나무가 바위나 절벽에 뿌리 내린 자연의 풍광을 표현하거나, 돌과 나무의 어울림을 만들어 작가의 의도를 표출하고, 조형적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석부작에 적합한 식물의 종류로는 관목류, 사초종류, 이끼종류, 양치류, 야생화종류 등이 있으며, 현무암(화산석, 송이석), 평석, 황호석 등 다양한 돌을 활용하여 만들 수 있다.
2024.05.01 -
江湖四時歌 / 孟思誠 - 孟氏杏壇
강호가(江湖歌) 또는 사시한정가(四時閒情歌) 라고 불리우는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는 조선초기 맹사성(孟思誠)이 만년에 벼슬을 내놓고 강호에 묻힌 자신의 생활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 자연의 변화와 결부시켜 각 한 수씩 4수로 읊은 연시조다. 강호에서 자연을 즐기며 임금의 은혜를 생각하는 내용으로, 계절에 따라 한 수씩을 노래했다. 초장은 모두 ‘강호( 江湖) ’라는 말로 시작되고, 종장은 임금님의 은혜이시도다 라는 의미의 ‘역군은(亦君恩)이샷다’로 끝난다. 江湖四時歌 / 孟思誠 江湖에 봄이 드니 미친 興이 절로 난다.탁료 계변에 錦鱗魚가 안쥐로다.이 몸이 閒暇해옴도 亦君恩이샷다. 江湖에 녀름이 드니 草堂에 일이 업다.有信한 江波난 보내나니 바람이로다.이 몸이 서날해옴도 亦君恩이샷다. 江湖(강호)에 ..
2024.05.01 -
맹사성기념관 - 맹씨행단(孟氏杏壇) - 배방읍 - 아산시 - 충남
고불맹사성기념관의 대지면적은 총 4,279㎡, 건축면적은 574.89㎡이며 연면적은 384.12㎡으로 전시동, 교육동 2개의 동으로 나눠져 있다. 전시동은 고불 맹서성 선생과 맹씨행단에 관련된 역사자료를 볼 수 있는 공간이고,영상관은 고불 맹사성기록물을 영상으로 볼 수 있는 공간이며, 교육동은 고불 맹사성선생과 맹씨행단에 대한 세미나 및 청렴교육을 하는 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2024.05.01 -
쌍행수(雙杏樹) - 맹씨행단 - 배방읍 - 아산시 - 충남
쌍행수(雙杏樹)라고 불리우는 이 두 그루의 은행나무는 나이가 무려 600살이 훨씬 넘은 것으로, 맹사성이 이 집에 살던 때 몸소 심고 가꾼 나무라고 전한다. 오랜 세월을 살아온 이 나무들은 한 그루는 높이 40m, 둘레 5m 80cm, 다른 한 그루는 높이 45m, 둘레 8m 50cm로, 사적 109호로 지정된 아산 맹씨행단에 자리하고 있다.
2024.05.01 -
세덕사(世德祠) - 맹씨행단(孟氏杏壇) - 배방읍 - 아산시 - 충남
맹씨행단 고택의 북동쪽에 있는 세덕사(世德祠)는 그의 조부인 맹유(孟裕), 부친인 맹희도(孟希道) 그리고 맹사성(孟思誠) 이 세 사람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이다. 사당은 후대에 지어진 것이나 최초 건립 시기는 알 수 없다. 이곳에서 매년 10월 10일 숭모제가 열리고 있다. 구괴정은 고택 외곽의 담장 밖에 자리하고 있다. 세덕사는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전면 반 칸 열에 툇기둥을 세워 벽체와 창호를 설치하여 툇마루 공간을 두고 있다. 지붕부는 팔작지붕의 구조이다. 구괴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6칸 규모의 정자이다. 바닥은 모두 마루를 깔았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 창호나 벽체가 없이 모두 개방되어 있다. 세덕사와 마찬가지로 지붕부는 팔작지붕 구조이다.
2024.05.01 -
구귀정(九槐亭) - 맹씨행단(孟氏杏壇) - 배방읍 - 아산시
이 정각은 조선 세종 때의 정승이었던 황희 권진과 함께 느티나무를 세 그루씩 심었다는 데에서 구괴정((九槐亭)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600여년 전의 이곳은 오봉산을 배경으로 앞에는 북풍을 막아주는 배방산과 복부성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고 금곡천의 맑은 물이 당긴 활모양으로 흘러내려 시인과 묵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던 명승지였다고 한다. 세 정승은 이 곳에 정각을 세워 시문을 지어 읊으며 망중하능 즐겼고 국정을 논의하기도 하였으며 일하는 농민을 불러 위로하며 민정도 살폈다. 600여년의 세월이 흘러 아홉그루중 일곱 그루의 느티나무는 수명을 다하였고 두 구루만 허리를 굽힌체 받침대에 의지하여 흥망성쇠하였던 500년의 역사를 말없이 증언하고 있다. 한 편 인곳은 삼정승이 국사를 논의 하였다고 하여 삼상당(三..
2024.05.01 -
맹사성고택(孟思誠故宅) - 맹씨행단(孟氏杏壇) - 배방읍 - 아산시 - 충남
맹씨행단이라고 불리우는 맹사성고택은 정면 4칸, 측면 3칸의 ㄷ자형 평면집으로 지정면적 7,851㎡의 고려말기인 600여년전의 고택이다. 본채와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었다는 이 고택은 행랑채와 부엌은 사라지고 가옥의 위치마져도 서북향(西北向)인 손좌(巽坐)에서 동북향(東北向)인 계향(癸向)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하지만 기둥에 대들보 나무를 가로 얹어 그 위로 지붕을 쌓은 모습이나 기와를 쌓아 본채 밖으로 자리를 만든 굴뚝 등의 모습은 조선시대 민가에서 찾아보기 힘든 고려 말기 가옥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고택이다.
2024.05.01 -
맹씨행단(孟氏杏壇) - 배방읍 - 아산시 - 충남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행단길 23-4에 위치하고 있는 맹씨행단은 조선 초기 세종 때 영의정으로 검소한 생활과 원칙에 철저한 학자로 명성을 높인 맹사성의 집안이 살던 곳이다. 이곳은 본래 고려 말기 충절의 상징이 되는 최영 장군의 가옥이었는데, 최영 장군과 맹사성의 할아버지와의 인연으로 맹사성은 그의 손녀사위가 되었다. 이후 맹사성이 물려받아 그의 집안이 살게 되었다. 맹사성의 행단 즉 맹씨행단(孟氏杏壇)이란 가옥명은 공자가 은행나무 위에서 가르쳤다는 얘기에서 나온 말로, 학문을 닦는 곳을 행단이라 한 것에 연유되어 그리 부르게 된거 같다. 그도 그럴것이 고택에는 맹사성이 단(壇)을 만들어 공부했다는 수령 640년 생인 은행나무 두 그루가 행단의 상징처럼 우뚝 서 있기도 하다. 맹씨행단(孟氏杏壇)에는 ..
2024.05.01 -
헤어질결심
안개 / 정훈희 나 홀로 걸어가는 안개만이 자욱한 이 거리그 언젠가 다정했던 그대의 그림자 하나 생각하면 무엇하나 지나간 추억그래도 애타게 그리는 마음 아 그 사람은 어디에 갔을까안개 속에 외로이 하염없이 나는 간다 돌아 서면 가로막는 낮은 목소리바람이여 안개를 걷어 가 다오 아 그 사람은 어디에 갔을까안개 속에 눈을 떠라 눈물을 감추어라 https://youtu.be/adOfY28Av-E?si=GcUGeMc3YM6zWK3T
2024.04.30 -
Exhuma / 파묘 2024.04.29
-
풍경 - 아산시 - 충남 2024.04.29
-
바다
바닷가에서 우연히 만난사람바닷가에서 추억을 맺은사람손잡고 해변을 단둘이 거닐며파도소리들으며 사랑을 약속했던그러나 부서진 파도처럼쓸쓸한추억만 남기고 가버린바다의 여인아 바다의 여인 / 4월과 5월 https://youtu.be/IzjBTOKv9pY?si=Ev-K4kqy9Cb-Jd2c
2024.04.29 -
찔레꽃아픔 매화꽃향기 - 당고개 순교성지 - 서울시
서울특별시 용산구 신계동에 위치하고 있는 당고개 순교성지는 이 성지는 기해박해로 1839년 12월 27일과 28일(음력) 이곳에서 처형된 신자 10명인 이인덕(마리아), 홍병주(베드로), 홍영주(바오로), 이경이(아가타), 권진이(아가타), 최영이(바르바라), 이문우(요한), 손소벽(막달레나), 박종원(아우구스티노), 이성례(마리아)를 기리고 있다. 이들은 본래 서소문 밖 네거리에서 처형되기로 되었으나 서소문 밖 상인들이 설 대목장을 보아야 함으로 형장을 다른 곳으로 옮겨 줄 것을 요청하였기 때문에 이 곳 당고개로 옮겨 사형을 집행함으로써 순교자들을 모시게 되었다. 당고개 순교성지는 ‘찔레꽃 아픔 매화꽃 향기’를 주제로, 박해의 고통을 찔레꽃 가시로, 하느님의 은총을 매화꽃 향기로 표현하여 조성되었다...
2024.04.29 -
등불
그대 슬픈 밤에는 등불을 켜요고요히 타오르는 장미의 눈물하얀 외로움에 그대 불을 밝히고회상의 먼바다에 그대 배를 띄워요창가에 홀로앚아 등불을 켜면살며시 피어나는 무지개 추억 그대 슬픈 밤에는 등불을 켜요정답게 피어나는 밀감빛 안개황홀한 그리움에 그대 불을 밝히고회상의 종소리를 그대 들어보아요창가에 홀로앉아 등불을 켜면조용히 들려오는 님의 목소리님의 목소리 님의 목소리 등불 / 영사운드 https://youtu.be/ddQyRjljv0I?si=qQLvhYF79-6fejSK
202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