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610)
-
바다향기로 - 외옹치해변 - 속초시 - 강원도
강원도 속초시 대포동 596-2에 위치하고 있는 외옹치해변은 대포항 근처에 위치한 백사장 길이 총면적은 10,842m2 , 길이는 205m, 폭은 53m 규모의 작은 해변이다. 외옹치(外瓮峙)' 지명의 유래는 조선시대에 ‘옹진(瓮津)’이라 불리던 고갯길이 밭뚝이 다닥다닥 층계 모양으로 붙어있어 ‘밭뚝재’라 불리고, 발음상 변화로 ‘독재’로 바뀌어, ‘옹진’이라는 고유지명 대신 외형을 기준으로 ‘바깥 독재’라는 뜻의 한자표기인 외옹치(外瓮峙)로 불리고 있다. 외옹치해변 바다향기로의 총 길이는 약1.7km이며, 속초해수욕장 구간(850m)과 외옹치 구간(890m)으로 나뉘어져 있다. 대나무 명상길, 하늘 데크길, 안보 체험길, 암석 관찰길 4개 테마 코스로 꾸며져 있는 외치해변 바다향기로는 tvN 드라마 '..
2024.09.04 -
외옹치해변 - 속초시 - 강원도
강원도 속초시 대포동 596-2에 위치하고 있는 외옹치해변은 대포항 근처에 위치한 백사장 길이 총면적은 10,842m2 , 길이는 205m, 폭은 53m 규모의 작은 해변이다. 외옹치(外瓮峙)' 지명의 유래는 조선시대에 ‘옹진(瓮津)’이라 불리던 고갯길이 밭뚝이 다닥다닥 층계 모양으로 붙어있어 ‘밭뚝재’라 불리고, 발음상 변화로 ‘독재’로 바뀌어, ‘옹진’이라는 고유지명 대신 외형을 기준으로 ‘바깥 독재’라는 뜻의 한자표기인 외옹치(外瓮峙)로 불리고 있다.
2024.09.04 -
바우지움조각미술관 8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원암온천3길 37에 위치하고 있는 바우지움조각미술관은 현대 조각의 대중화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치과의사 안정모 박사와 조각가 김명숙 관장 부부가 2015년에 건립한 조각 전문 사립미술관이다. ‘바우지움’은 바위를 뜻하는 강원도 사투리 ‘바우’와 ‘뮤지엄’을 합친 이름이다 근현대조각관, 김명숙조형관, 아트스페이스 각각 50평 세 동으로 이루어진 갤러리와 소나무 정원, 물의 정원, 돌의 정원, 잔디 정원, 테라코타 정원 다섯 가지 테마로 이뤄진 5,000평 부지의 야외정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4.09.04 -
바우지움조각미술관 7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원암온천3길 37에 위치하고 있는 바우지움조각미술관은 현대 조각의 대중화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치과의사 안정모 박사와 조각가 김명숙 관장 부부가 2015년에 건립한 조각 전문 사립미술관이다. ‘바우지움’은 바위를 뜻하는 강원도 사투리 ‘바우’와 ‘뮤지엄’을 합친 이름이다 근현대조각관, 김명숙조형관, 아트스페이스 각각 50평 세 동으로 이루어진 갤러리와 소나무 정원, 물의 정원, 돌의 정원, 잔디 정원, 테라코타 정원 다섯 가지 테마로 이뤄진 5,000평 부지의 야외정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4.09.04 -
바우지움조각미술관 6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원암온천3길 37에 위치하고 있는 바우지움조각미술관은 현대 조각의 대중화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치과의사 안정모 박사와 조각가 김명숙 관장 부부가 2015년에 건립한 조각 전문 사립미술관이다. ‘바우지움’은 바위를 뜻하는 강원도 사투리 ‘바우’와 ‘뮤지엄’을 합친 이름이다 근현대조각관, 김명숙조형관, 아트스페이스 각각 50평 세 동으로 이루어진 갤러리와 소나무 정원, 물의 정원, 돌의 정원, 잔디 정원, 테라코타 정원 다섯 가지 테마로 이뤄진 5,000평 부지의 야외정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4.09.04 -
바우지움조각미술관 5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원암온천3길 37에 위치하고 있는 바우지움조각미술관은 현대 조각의 대중화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치과의사 안정모 박사와 조각가 김명숙 관장 부부가 2015년에 건립한 조각 전문 사립미술관이다. ‘바우지움’은 바위를 뜻하는 강원도 사투리 ‘바우’와 ‘뮤지엄’을 합친 이름이다 근현대조각관, 김명숙조형관, 아트스페이스 각각 50평 세 동으로 이루어진 갤러리와 소나무 정원, 물의 정원, 돌의 정원, 잔디 정원, 테라코타 정원 다섯 가지 테마로 이뤄진 5,000평 부지의 야외정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4.09.04 -
바우지움조각미술관 4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원암온천3길 37에 위치하고 있는 바우지움조각미술관은 현대 조각의 대중화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치과의사 안정모 박사와 조각가 김명숙 관장 부부가 2015년에 건립한 조각 전문 사립미술관이다. ‘바우지움’은 바위를 뜻하는 강원도 사투리 ‘바우’와 ‘뮤지엄’을 합친 이름이다 근현대조각관, 김명숙조형관, 아트스페이스 각각 50평 세 동으로 이루어진 갤러리와 소나무 정원, 물의 정원, 돌의 정원, 잔디 정원, 테라코타 정원 다섯 가지 테마로 이뤄진 5,000평 부지의 야외정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4.09.04 -
바우지움조각미술관 3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원암온천3길 37에 위치하고 있는 바우지움조각미술관은 현대 조각의 대중화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치과의사 안정모 박사와 조각가 김명숙 관장 부부가 2015년에 건립한 조각 전문 사립미술관이다. ‘바우지움’은 바위를 뜻하는 강원도 사투리 ‘바우’와 ‘뮤지엄’을 합친 이름이다 근현대조각관, 김명숙조형관, 아트스페이스 각각 50평 세 동으로 이루어진 갤러리와 소나무 정원, 물의 정원, 돌의 정원, 잔디 정원, 테라코타 정원 다섯 가지 테마로 이뤄진 5,000평 부지의 야외정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4.09.04 -
바우지움조각미술관 2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원암온천3길 37에 위치하고 있는 바우지움조각미술관은 현대 조각의 대중화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치과의사 안정모 박사와 조각가 김명숙 관장 부부가 2015년에 건립한 조각 전문 사립미술관이다. ‘바우지움’은 바위를 뜻하는 강원도 사투리 ‘바우’와 ‘뮤지엄’을 합친 이름이다 근현대조각관, 김명숙조형관, 아트스페이스 각각 50평 세 동으로 이루어진 갤러리와 소나무 정원, 물의 정원, 돌의 정원, 잔디 정원, 테라코타 정원 다섯 가지 테마로 이뤄진 5,000평 부지의 야외정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4.09.04 -
바우지움조각미술관 1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원암온천3길 37에 위치하고 있는 바우지움조각미술관은 현대 조각의 대중화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치과의사 안정모 박사와 조각가 김명숙 관장 부부가 2015년에 건립한 조각 전문 사립미술관이다. ‘바우지움’은 바위를 뜻하는 강원도 사투리 ‘바우’와 ‘뮤지엄’을 합친 이름이다 근현대조각관, 김명숙조형관, 아트스페이스 각각 50평 세 동으로 이루어진 갤러리와 소나무 정원, 물의 정원, 돌의 정원, 잔디 정원, 테라코타 정원 다섯 가지 테마로 이뤄진 5,000평 부지의 야외정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4.09.04 -
이승만초대대통령별장 - 화진포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화진포에는 세 명의 옛 정치인의 별장인 김일성별장, 이승만별장, 이기붕별장이 나란히 놓여 있다. 이승만 별장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이 머물렀던 곳으로 1954년에 신축된 뒤 1961년에 폐허가 되었다가 1997년 7월 육군이 재건축하여 1999년 전시관으로 복원되었다. 별장의 외부는 별장답지 않게 아담하고 소박하며 허름하게 보인다. 내부는 침실과 집무실로 쓰이던 방 두 개와 거실로 구분되어 있으며 유족들에게 기증받은 물품들로 전시하여 이승만 대통령이 기거하던 시절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였다. 단출한 가구와 소박한 물건들 그리고 생전의 사진들로 그 당시의 분위기를 가늠할 수 있다. 이승만별장은 소박하고 단출하지만 별장 안에서 밖을 바라보면 주변의 울창한 송림과 한데 어우러진 화진..
2024.09.02 -
백섬해상전망대 - 거진1리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거진리 산 105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백섬해상전망대는 백섬(백암도)과 해안도로를 연결하는 해상데크로 길이 137m, 폭 2.5m, 높이 4~25m 높이 25m의 전망대다. 해상전망대에 오르면 동해바다와 해금강, 금구도, 거진항구의 아름다운 경치를 관람할 수 있다. 백섬은 육지에 인접한 무인도이고 백섬의 유래는 과거에는 잔돌이 많아 잔철로 부르다가 이 중 제일 큰 바위가 갈매기 배설물로 인해 하얗게 보인다하여 지금의 백섬이 되었다고 한다.
2024.09.02 -
거진1리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거진1리에 위치하고 있는 거진1리해변은 거진항 북쪽에 위치한 조용한 해변으로 앞바다의 백섬과 주변의 기암괴석으로 절경을 이루고 있은 해변이다. 150m길이의 해변은 모래가 아닌 자갈밭으로 되어있다. 백섬은 거진1리 해변에 있는 작은 섬으로 육지에 인접한 무인도이고 백섬이라는 이름은 갈매기 배설물로 하얗게 보인다 하여 그렇게 불려진다고 한다
2024.09.02 -
기억
기억에는 근본적으로 "절차적 기억"과 "에피소드 기억"이라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절차적 기억은 "근육 기억"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생각 없이 이루어지는 습관이나 일상을 포함한다. 그러나 에피소드적 기억은 의식적인 기억을 필요로 하고, 우리의 뇌가 무언가를 기억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2024.09.02 -
반암항 복합낚시공원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자산천로 102-15에 위치하고 있는 반암항복합낚시공원은 다양한 낚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바다위 공원이다. 원형모양의 낚시공원 둘레의 길이는 167m로 1인당 이용길이를 2m로 가정할 시 동시에 83명이 낚시를 즐길수 있는 공원이다.
2024.09.02 -
자작도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자작도선사길에 위치하고 있는 자작도 해변은 초생달 모양의 해안선으로 형성된 해안으로서 유영폭이 길고 수심이 낮으며 희고 고운 모래와 6,000여 평의 백사장과 해변 좌우에 발달한 기암괴석의 경관이 아름다운 해변이다.
2024.09.02 -
해 쉼터 - 봉수대해변 - 고성군 - 강화도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호리에 위치한 봉수대 해변의 해 쉼터는 해변 카페다. 봉수대 해변은 서핑으로 유명한 해변이다.
2024.09.02 -
봉수대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호리에 있는 봉수대 해변은 백사장 길이는 800m, 폭은 50m, 수심은 1.5m로, 삼포해변과 송지호해변 사이에 있다. 서핑을 하는 사람들이나, 카누를 하는 사람들로 북적이는 해양 레포츠가 유명한 해변이며 VR 해양 모험관과 함께 원더캠프, 레저 체험 등 다양한 시설들이 있는 해변이다. 참고로 이 해변은 고성산불로 피해를 본 주민들에게 새로운 보금자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1997년 미개발 해안을 해변으로 개발한 해변이기도 하다.
2024.09.02 -
백섬전망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거진리 산 105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백섬전망대는 백섬(백암도)과 해안도로를 연결하는 해상데크로 길이 137m, 폭 2.5m, 높이 4~25m 규모이다. 해상전망대에 오르면 동해바다와 해금강, 금구도, 거진항구의 아름다운 경치를 관람할 수 있다.
2024.09.02 -
문암리유적지 - 고성군 - 강원도
고성 문암리 유적은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죽왕면에 있는 신석기시대의 유적이다. 이곳은 한반도 동북지방과 중국의 동북 3성 지방, 러시아 아무르강 연안을 포함하는 동북아시아의 신석기 문화와 한반도 선사인의 원류 및 이동경로, 당시의 문화계통과 전파 정도 등을 밝히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유적이라고 한다.
2024.09.02 -
고재바위 - 가진항 ~ 공현진2리바다 - 고성군 - 강원도
공현진2리해변에는 잘 알려져있는 스뭇개바위(옵바위)가 있다. 공현진2리해변 북쪽 가진항쪽의 해변에 멋지게 서있는 고재바위라고 불리우는 바위가 있는데 가진항이 개발되기전에 북쪽 가진리에서 공현진리로 왹위해서는 높은 고개를 넘어야 했는데 그 고개의 바닷가에 있는 바위라서 고재바위라고 불리워졌다고 한다.
2024.09.02 -
거진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거진리에 위치하고 있는 거진해변은 거진11리해변으로 불려지고 있기도 하다. 길이 약 500m에 넓이 17,520m²(5,300여 평)의 백사장이 펼쳐져 있어 가족단위나 연인들끼리의 피서지로 좋은 해변이다.
2024.09.02 -
거진항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거진리에 위치하고 있는 거진항은 5백여년전 한 선비가 과거를 보러 한양으로 가던 중 이곳에 들렀다가 산세를 훑어보니 꼭 클 '거(巨)'자와 같이 생겨 큰 나루 즉 거진이라 불리고 있다는 전설이 뒷받침하듯 거진항은 태백산맥 줄기의 구름이 해안을 에워싸고 있어 오래전부터 천혜의 어항으로 발달해왔다. 거진항의 최대 인구는 오징어가 가장 호황하던 1970년대로 이 당시 인구는 2만5천명이었으며 1981년 소도읍 가꾸기 사업을 실시하여 초가집의 초라한 옛 모습을 찾을 길 없는 현대도시로 탈바꿈하고 있다.
2024.09.02 -
가진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가진리 495-6 에 위치하고 있는 가진해변은 국도 7호선에서 동쪽으로 1km 떨어진 가진리 마을에 위치하고 있으며 13,223m²(4,000여 평)의 아늑한 백사장이 펼쳐져 있고 바다 색깔은 푸른색과 에메럴드 빛이 어우러져 이국적 풍경을 만드는 해변이다.
2024.09.02 -
금구도 - 화진포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금구도(金龜島)는 강원도 고성군의 현내면 화진포 앞바다에 위치한 무인도이다. 화진포 쪽에서 바라보면 섬의 형상이 거북이와 같이 보여 금구도(金龜島)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섬에는 화강암으로 축조된 2중 구조의 성벽과 보호벽 · 방파성 등의 흔적이 남아 있다. 고구려 연대기에 의하면 394년(광개토대왕 3)에 화진포의 거북섬에 광개토대왕의 왕릉 축조를 시작하였으며 414년(장수왕 2) 거북섬에 광개토대왕의 시신을 안장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를 통해 광개토대왕릉이 금구도에 있다는 설이 제기되었다. 특히 고구려의 지명 중 '홀(忽)'이 붙은 곳은 왕릉 혹은 왕비릉이 있는 곳이라는 주장이 더해져 과거 '가라홀(加羅忽)'과 '달홀(達忽)'로 불리었던 이 지역에 광개토대왕릉이 있다는 설을 뒷받침하고 있으나 아직..
2024.09.01 -
초도해변 - 고성군 - 강원도
초도항은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초도리에 위치하고 있는 해변이다. 근처에는 초도항이 있다.
2024.09.01 -
63빌딩 - 여의도 - 서울시 2024.09.01
-
천진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아야진리에 위치하고 있는 천진해변은 천진항과 연접하여 초생달 모양의 해안선을 따라 백사장이 펼쳐져 있는 해변이다. 수심이 낮아 가족단위의 피서객들과 젊은 피서객들이 즐겨 찾는 해변이며 매년 오징어 잡기대회가 열리는 해변이기도 하다.
2024.08.31 -
Ara Coffee - 공현진1리해변 - 고성군 - 강원도
어느때부터인가 혼자서 카페를 가지 않게 되었다. 카페의 분위기와 카페에서 마시는 에스 프레소를 너무 좋아하는 나로써는 나이듬에 의한 변화중 가장 먼저 찾아온 이런 현상에 스스로 놀라기도 하지만 어쩔수 없는 일이라 생각하고 있다. 이날 공현진해변 햇빛이 너무 강해 어쩔수없이 들어가 오랫만에 에스 프레소를 마셨다. 이곳은 공현진해변가에 있는 아라 커피 라는 카페다.
2024.08.31 -
Sky Sea See - 공현진1리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공현진리에 위치한 공현진1리해변에 설치되어 있는 'Sky Sea See' 라는 조형물이다. 이 조형물은 공공미술프로젝트 '우리동네 미술' 이란 이름으로 설치된 바다전망대다.
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