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610)
-
거대농부상(진격의농부) - 무릉도원공원 - 고성군 - 강원도
고성 도원계곡(유원지)를 가다가 우연히 발견한 16m높이의 거대농부상 일명 '진격의 농부' 라고 불리우는 이 조형물은 농부가 아니라 이 일대에서 장독을 만들어 팔던 지역민의 모습을 형상화한 조형물이라고 한다. 이 독특한 조형물이 있는 '무릉도원공원'이라고 불리우는 공원은 찾는이도 별로 없고 그래서일까 방치되어있는듯 보였다.
2024.08.31 -
무제
2024년6월27일 고성군 토성면 성천리 6-1 에 시공하려는 '엠퍼씨속초발코니온천리조트신축공사' 현장 현장소장으로 근무를 하게 되면서 속초분들도 금년 여름같은 더위는 처음 겪어보는 더위라고 혀를 내두를정도도 지독한 무더위가 머물럿던 여름을 보낸거 같다. 현장에선 설악산과 금강산의 첫봉우라고 하는 신선봉 그리고 그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미시령고개를 바라다볼 수 있는데 특히 설악산의 얼굴이기도 한 울산바위가 정면으로 볼 수 있다. 출근하면 직원들과 함께 울산바위를 바라다보며 농담반 진담반 신비한 바위의 기를 흡수하려 큰 호흡을 하는 등 의지를 다져보았지만 여전히 현장여건은 생각처럼 만족한 상황은 아닌거 같다. 현장은 늘 크고 작은 문제점들이 발생하는 곳이고 또한 그런 문제점들을 하나 하나 해결해나가는 곳..
2024.08.31 -
도원계곡(유원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도원1리에 위치하고 있는 도원유원지는 문암천 상류 11km지점의 하천계곡형 유원지로 울창한 원시림과 저수지가 분포하고 있어 자연경관이 우수하며 마산봉, 신성봉 등 태백고봉이 위치하고 있어 산악등반 및 동해 전망의 최적 여건을 갖추고 있는 곳이다. 도원리는 1,2,3리로 나뉘어 있는데, 1리와 3리는 지난 68년도원저수지가 생기며 수몰민들이 이주해 형성된 마을이다. 또 한마을에는 왼손으로 돌을 잡고 양다리 사이로 던져 돌이 바위에 올라가면 아들을 낳고 떨어지면 딸을 낳는다고 전해지는 아들 바위가 있고 결핵환자가 3년을 치료해 병을 고쳤다는 참샛물도 있다.
2024.08.31 -
무릉도원권역활성화센터 - 무릉도원공원 - 고성군 - 강원도
강원 고성군 토성면 도원2리에 위치하고 있는 무릉도원권역활성화센터는 3층건물로 높이 16m ‘거대농부상’ 형태로 ‘진격의 농부’로 불리며 관광 명소로 인기를 끌었다. 1층은 카페, 2층은 켈리그라피 체험 학습장과 전시장, 3층은 도자기 공방과 전시장으로 운영되었으나 지금은 문을 닫은 상태다.
2024.08.31 -
솔방울전망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잼버리로 244 세계잼버리수련장에 위치하고 있는 솔방울전망대는 씨앗과 솔방울을 모티프로 한 전망대로, 가로 28.5m, 세로 25m, 높이 45m이고, 오르내리는 길은 왕복 1.2km로 휠체어를 이용해 오를 수 있으며, 동시 수용인원은 약 500명이다. 오르는 중간중간에는 26개의 포켓 전망대가 마련되어 있어, 관람객들이 쉬어갈 수 있도록 했으며, 상층부로 올라가면서 시시각각 변화하는 경관을 즐길 수 있다.
2024.08.31 -
왕곡마을 6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왕곡마을길 41에 위치하고 있는 왕곡마을은 동해안의 수려한 자연환경 속에 자리한 전통 한옥마을로, 14세기 경부터 강릉 함씨와 강릉 최씨, 용궁 김씨 등이 모여 사는 집성촌이다. 고려 말에 함부열이 조선의 건국에 반대하여 은거한데서 비롯되며, 임진왜란으로 폐허화된 후 150여년에 걸쳐 형성된 마을이다. 함씨·최씨·진씨가 주를 이루고 이밖에 이씨·박씨·김씨·한씨·윤씨 등이 살고 있다. 19세기를 전후하여 지어진 기와집들은 모두 강원특별자치도 북부지방에서만 볼 수 있는 양통집이다. 이는 긴겨울의 추위를 견디기 위한 구조로, 특히 부엌 앞 처마에 외양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집들은 원래의 모습대로 잘 보존되어 오고 있으며, 자연경관 전통주택·농업위주의 생활 등이 오랜 세월 동안 마을 전체에..
2024.08.31 -
정미소 - 왕곡마을 5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왕곡마을길 41에 위치하고 있는 왕곡마을은 동해안의 수려한 자연환경 속에 자리한 전통 한옥마을로, 14세기 경부터 강릉 함씨와 강릉 최씨, 용궁 김씨 등이 모여 사는 집성촌이다. 고려 말에 함부열이 조선의 건국에 반대하여 은거한데서 비롯되며, 임진왜란으로 폐허화된 후 150여년에 걸쳐 형성된 마을이다. 함씨·최씨·진씨가 주를 이루고 이밖에 이씨·박씨·김씨·한씨·윤씨 등이 살고 있다. 19세기를 전후하여 지어진 기와집들은 모두 강원특별자치도 북부지방에서만 볼 수 있는 양통집이다. 이는 긴겨울의 추위를 견디기 위한 구조로, 특히 부엌 앞 처마에 외양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집들은 원래의 모습대로 잘 보존되어 오고 있으며, 자연경관 전통주택·농업위주의 생활 등이 오랜 세월 동안 마을 전체에..
2024.08.31 -
왕곡마을 4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왕곡마을길 41에 위치하고 있는 왕곡마을은 동해안의 수려한 자연환경 속에 자리한 전통 한옥마을로, 14세기 경부터 강릉 함씨와 강릉 최씨, 용궁 김씨 등이 모여 사는 집성촌이다. 고려 말에 함부열이 조선의 건국에 반대하여 은거한데서 비롯되며, 임진왜란으로 폐허화된 후 150여년에 걸쳐 형성된 마을이다. 함씨·최씨·진씨가 주를 이루고 이밖에 이씨·박씨·김씨·한씨·윤씨 등이 살고 있다. 19세기를 전후하여 지어진 기와집들은 모두 강원특별자치도 북부지방에서만 볼 수 있는 양통집이다. 이는 긴겨울의 추위를 견디기 위한 구조로, 특히 부엌 앞 처마에 외양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집들은 원래의 모습대로 잘 보존되어 오고 있으며, 자연경관 전통주택·농업위주의 생활 등이 오랜 세월 동안 마을 전체에..
2024.08.31 -
왕곡마을 3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왕곡마을길 41에 위치하고 있는 왕곡마을은 동해안의 수려한 자연환경 속에 자리한 전통 한옥마을로, 14세기 경부터 강릉 함씨와 강릉 최씨, 용궁 김씨 등이 모여 사는 집성촌이다. 고려 말에 함부열이 조선의 건국에 반대하여 은거한데서 비롯되며, 임진왜란으로 폐허화된 후 150여년에 걸쳐 형성된 마을이다. 함씨·최씨·진씨가 주를 이루고 이밖에 이씨·박씨·김씨·한씨·윤씨 등이 살고 있다. 19세기를 전후하여 지어진 기와집들은 모두 강원특별자치도 북부지방에서만 볼 수 있는 양통집이다. 이는 긴겨울의 추위를 견디기 위한 구조로, 특히 부엌 앞 처마에 외양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집들은 원래의 모습대로 잘 보존되어 오고 있으며, 자연경관 전통주택·농업위주의 생활 등이 오랜 세월 동안 마을 전체에..
2024.08.31 -
왕곡마을 2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왕곡마을길 41에 위치하고 있는 왕곡마을은 동해안의 수려한 자연환경 속에 자리한 전통 한옥마을로, 14세기 경부터 강릉 함씨와 강릉 최씨, 용궁 김씨 등이 모여 사는 집성촌이다. 고려 말에 함부열이 조선의 건국에 반대하여 은거한데서 비롯되며, 임진왜란으로 폐허화된 후 150여년에 걸쳐 형성된 마을이다. 함씨·최씨·진씨가 주를 이루고 이밖에 이씨·박씨·김씨·한씨·윤씨 등이 살고 있다. 19세기를 전후하여 지어진 기와집들은 모두 강원특별자치도 북부지방에서만 볼 수 있는 양통집이다. 이는 긴겨울의 추위를 견디기 위한 구조로, 특히 부엌 앞 처마에 외양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집들은 원래의 모습대로 잘 보존되어 오고 있으며, 자연경관 전통주택·농업위주의 생활 등이 오랜 세월 동안 마을 전체에..
2024.08.31 -
왕곡마을 1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왕곡마을길 41에 위치하고 있는 왕곡마을은 동해안의 수려한 자연환경 속에 자리한 전통 한옥마을로, 14세기 경부터 강릉 함씨와 강릉 최씨, 용궁 김씨 등이 모여 사는 집성촌이다. 고려 말에 함부열이 조선의 건국에 반대하여 은거한데서 비롯되며, 임진왜란으로 폐허화된 후 150여년에 걸쳐 형성된 마을이다. 함씨·최씨·진씨가 주를 이루고 이밖에 이씨·박씨·김씨·한씨·윤씨 등이 살고 있다. 19세기를 전후하여 지어진 기와집들은 모두 강원특별자치도 북부지방에서만 볼 수 있는 양통집이다. 이는 긴겨울의 추위를 견디기 위한 구조로, 특히 부엌 앞 처마에 외양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집들은 원래의 모습대로 잘 보존되어 오고 있으며, 자연경관 전통주택·농업위주의 생활 등이 오랜 세월 동안 마을 전체에..
2024.08.30 -
바라던 바다 - 공현진1리해변 - 고성군 - 강원도
Jtbc에서 방영되었던 예능프로그램 ‘바라던 바다’(연출 송광종)는 신비롭고 아름다운 바다가 보이는 라이브 바에서 직접 선곡한 음악과 직접 만든 요리를 선보이는 스타들과 그 곳을 찾은 손님들의 이야기를 담은 힐링 예능 프로그램이다. ‘바라던 바다’는 SEA(바다), BAR(바) 그리고 WISH(바라다)라는 세 가지 의미을 담고 있다. 운영진으로는 윤종신, 이지아, 이동욱, 온유, 김고은, 이수현이 출연한다. 이들은 손님들을 위해 요리와 음악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와 운영에 필요한 위한 모든 준비 과정에 직접 참여한다. 강원도 고성군 공현진1리 해변가에 위치하고 있는 바라던 바다의 촬영지는 종방과 함께 촬영의 흔적만 남아있을뿐 현재 오마쥬 펜션으로 운영되고 있다.
2024.08.30 -
벽화 - 공현진2리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공현진리에 위치하고 있는 공현진2리해수욕장은 고성군의 해돋이와 해수욕장 명소로 유명하며, 한적한 분위기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이다. 이곳엔 해돋이촬영명소인 옵바위(수뭇개바위)가 있다.
2024.08.29 -
공현진2리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공현진리에 위치하고 있는 공현진2리해수욕장은 고성군의 해돋이와 해수욕장 명소로 유명하며, 한적한 분위기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이다. 이곳엔 해돋이촬영명소인 옵바위(수뭇개바위)가 있다.
2024.08.29 -
수뭇개바위(옵바위) - 공현진2리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공현진리에 위치한 공현진2리해변에 있는 수뭇개바위(옵바위)는 바위 3개가 묶여 있다는 의미의 ‘삼속도’가 셔뭇뒤로 변했다가 다시 수뭇개가 된 것으로 추측된다. 한때는 옵바위로도 불렸으나, 2017년 고성군에 의해 정식 명칭이 '수뭇개바위'로 정해졌다.
2024.08.29 -
수뭇개바위(옵바위) - 공현진2리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공현진리에 위치한 공현진2리해변에 있는 수뭇개바위(옵바위)는 바위 3개가 묶여 있다는 의미의 ‘삼속도’가 셔뭇뒤로 변했다가 다시 수뭇개가 된 것으로 추측된다. 한때는 옵바위로도 불렸으나, 2017년 고성군에 의해 정식 명칭이 '수뭇개바위'로 정해졌다.
2024.08.29 -
수뭇개바위(옵바위) - 공현진2리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공현진리에 위치한 공현진2리해변에 있는 수뭇개바위(옵바위)는 바위 3개가 묶여 있다는 의미의 ‘삼속도’가 셔뭇뒤로 변했다가 다시 수뭇개가 된 것으로 추측된다. 한때는 옵바위로도 불렸으나, 2017년 고성군에 의해 정식 명칭이 '수뭇개바위'로 정해졌다.
2024.08.29 -
공현진2리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공현진리에 위치하고 있는 공현진2리해수욕장은 고성군의 해돋이와 해수욕장 명소로 유명하며, 한적한 분위기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이다. 이곳엔 해돋이촬영명소인 옵바위(수뭇개바위)가 있다.
2024.08.29 -
공현진2리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공현진리에 위치하고 있는 공현진2리해수욕장은 고성군의 해돋이와 해수욕장 명소로 유명하며, 한적한 분위기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이다. 이곳엔 해돋이촬영명소인 옵바위(수뭇개바위)가 있다.
2024.08.29 -
대진항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대진리에 있는 대진항(大津港)은 동해안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는 국가어항이다. 처음엔 대범미진(大汎味津)이라 불렀고, 그후 安씨와 金씨가 개척하였다고 해서 안금리(安金里)라고 칭하다가 고려시대에는 여산현(驪山縣), 그 후에는 열산현(烈山縣)에 속해 황금리(皇琴里 황구리)라고 불러왔고, 1910년 한일합방 이후에는 한나루(大津里)라고 개칭하였다.
2024.08.29 -
등대 - 대진항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대진리에 있는 대진항(大津港)은 동해안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는 국가어항이다. 처음엔 대범미진(大汎味津)이라 불렀고, 그후 安씨와 金씨가 개척하였다고 해서 안금리(安金里)라고 칭하다가 고려시대에는 여산현(驪山縣), 그 후에는 열산현(烈山縣)에 속해 황금리(皇琴里 황구리)라고 불러왔고, 1910년 한일합방 이후에는 한나루(大津里)라고 개칭하였다.
2024.08.29 -
대진항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대진리에 있는 대진항(大津港)은 동해안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는 국가어항이다. 처음엔 대범미진(大汎味津)이라 불렀고, 그후 安씨와 金씨가 개척하였다고 해서 안금리(安金里)라고 칭하다가 고려시대에는 여산현(驪山縣), 그 후에는 열산현(烈山縣)에 속해 황금리(皇琴里 황구리)라고 불러왔고, 1910년 한일합방 이후에는 한나루(大津里)라고 개칭하였다.
2024.08.29 -
대진항 해상공원 - 대진항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대진항길 80에 위치한 대진항 해상공원은 바다위에 조성되어 있는 공원이다. 별빛은하 해상공원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으며 폭 5m, 길이 300m의 Y자형 해상 테크와 무지개색 테트라 포트가 설치되어 있다.
2024.08.29 -
대진항 해상공원 - 대진항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대진항길 80에 위치한 대진항 해상공원은 바다위에 조성되어 있는 공원이다. 별빛은하 해상공원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으며 폭 5m, 길이 300m의 Y자형 해상 테크와 무지개색 테트라 포트가 설치되어 있다.
2024.08.29 -
화진포해변 4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화포리에서 현내면 초도리에 걸쳐 있는 화진포해수욕장은 남한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길이 1.7km, 넓이 약 70m, 수심 1~1.5m의 해수욕장이다. 오랜 세월 동안 조개껍데기와 바위가 부서져서 만들어진 모나자이트 성분의 완만한 백사장과 맑은 바닷물, 얕은 수심으로 인해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해변이기도 하다. 화진포는 호수가에 해당화가 많이 피어있어서 붙혀진 이름이며 주위에 소나무숲과 기암괴석, 철새와 해당화가 장관을 이루는 화진포가 있고, 김일성 별장(유료관람)과 수복 후 건립된 화진포 이승만 별장(유료관람)이 있다.
2024.08.29 -
화진포해변 3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화포리에서 현내면 초도리에 걸쳐 있는 화진포해수욕장은 남한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길이 1.7km, 넓이 약 70m, 수심 1~1.5m의 해수욕장이다. 오랜 세월 동안 조개껍데기와 바위가 부서져서 만들어진 모나자이트 성분의 완만한 백사장과 맑은 바닷물, 얕은 수심으로 인해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해변이기도 하다. 화진포는 호수가에 해당화가 많이 피어있어서 붙혀진 이름이며 주위에 소나무숲과 기암괴석, 철새와 해당화가 장관을 이루는 화진포가 있고, 김일성 별장(유료관람)과 수복 후 건립된 화진포 이승만 별장(유료관람)이 있다.
2024.08.29 -
화진포해변 2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화포리에서 현내면 초도리에 걸쳐 있는 화진포해수욕장은 남한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길이 1.7km, 넓이 약 70m, 수심 1~1.5m의 해수욕장이다. 오랜 세월 동안 조개껍데기와 바위가 부서져서 만들어진 모나자이트 성분의 완만한 백사장과 맑은 바닷물, 얕은 수심으로 인해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해변이기도 하다. 화진포는 호수가에 해당화가 많이 피어있어서 붙혀진 이름이며 주위에 소나무숲과 기암괴석, 철새와 해당화가 장관을 이루는 화진포가 있고, 김일성 별장(유료관람)과 수복 후 건립된 화진포 이승만 별장(유료관람)이 있다.
2024.08.29 -
화진포해변 1 - 고성군 - 강화도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화포리에서 현내면 초도리에 걸쳐 있는 화진포해수욕장은 남한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길이 1.7km, 넓이 약 70m, 수심 1~1.5m의 해수욕장이다. 오랜 세월 동안 조개껍데기와 바위가 부서져서 만들어진 모나자이트 성분의 완만한 백사장과 맑은 바닷물, 얕은 수심으로 인해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해변이기도 하다. 화진포는 호수가에 해당화가 많이 피어있어서 붙혀진 이름이며 주위에 소나무숲과 기암괴석, 철새와 해당화가 장관을 이루는 화진포가 있고, 김일성 별장(유료관람)과 수복 후 건립된 화진포 이승만 별장(유료관람)이 있다.
2024.08.28 -
공현진1리 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공현진1리에 위치하고 있는 공현진1리 해변은 국도7호선 상에 위치한 해변으로서 교통이 편리하고 깨끗한 백사장이 펼쳐져 있는 조용한 해변이다. 특히 이곳은 Jtbc에서 방영되었던 예능프로그램인 ‘바라던 바다’의 촬영지인 오마쥬 펜션이 있는 곳이다.
2024.08.28 -
삼포해변 - 고성군 - 강원도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삼포2리에 있는 삼포해변은 길이 800m, 너비 75m, 경사 2~3˚이며, 수심은 1~2m 의 해변이다. 해변을 붉게 수놓는 해당화와 울창한 소나무 숲의 빼어난 경관으로 유명한 곳이며 해변 맞은편에 흑도·백도·호미섬이 있어 바다낚시를 즐길 수 있다.
202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