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다

나는 나다

  • 분류 전체보기 (3666) N
    • 프롤로그 (10) N
    • Sport (4)
      • Baseball (1)
      • Football (3)
    • 블랙야크100대명산 (90)
      • 산에 관한 사진 (52)
    • 국내여행 (1294)
      • 서울시 (2)
      • 5궁종묘사직 (3)
      • 경기도 (97)
      • 충청도 (489)
      • 강원도 (547)
      • 경상도 (26)
      • 전라도 (120)
      • 제주도 (2)
    • 해외여행 (122)
      • 서유럽 (25)
      • 동유럽 (36)
      • 북유럽 (10)
      • 스페인 (26)
      • 일본 (21)
      • 호주 (1)
    • 창작사진 (1720)
      • 특별한사진 스토리텔링 (40)
      • 사람 연인 친구 부부 (101)
      • 풍경 들판 길 논 밭 (263)
      • 조각 동상 작품 소품 조형물 (342)
      • 건물 다리 조명 가구 (170)
      • 꽃 나무 식물 단풍 숲 (269)
      • 조류 어류 동물 곤충 (56)
      • 바다 호수 강 연못 해변 갯벌 (128)
      • 일몰 일출 해 달 야경 (31)
      • 눈 비 안개 구름 하늘 (23)
      • 배 비행기 기차 공항 항구 (36)
      • 자전거 자동차 곤돌라 (7)
      • 카페 식당 레스토랑 주점 (31)
      • 벽화 그림 간판 표지판 (75)
      • 거리 골목 도시 가로등 (16)
      • 궁 사찰 고건축 유물 유적 (102)
      • 건축 건설현장 (2)
      • 참고사진 (22)
    • 자작글 (190)
      • 산문 (61)
      • 자작시 (68)
      • 일기 (61)
    • 좋은시 (75)
    • 좋은글 (46)
    • 영화,드라마,소설 (13)
    • 가톨릭 (64)
    • 에필로그 (32)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나는 나다

컨텐츠 검색

태그

하슬라아트월드 보령시 홍성군 아산시 충남 충북 영월군 속초시 고성군 강원도 평창군 경기도 하슬라아트월드뮤지엄 양양군 강릉시 전북 서울시 논산시 젊은달와이파크 태안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강경읍(21)

  • 한일은행 강경지점 - 강경읍 - 논산군 - 충남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계백로167번길 50 에 위치하고 있는 한일은행 강경지점 건물은 강경역사관으로 붉은 벽돌조의 단층 건물로 대지면적은 978.83㎡이고, 대지 중앙에 본관 건물이 전면 도로와 면해서 위치하고, 좌측은 공터, 우측은 부속동과 증축된 상가건물과 연접하여 재래시장과 맞닿아 있으며, 본관 뒤쪽으로 단층 주택이 본관과 연결되어 있다.  본관은 282.99㎡의 단층 건물로 르네상스풍 절충주의양식으로 서양 고전건축에서 보여지는 베이스, 샤프트, 캐피탈의 요소를 갖춘 기둥과 에타블레이쳐로 구성된 정면은 테라스 스타일의 전형을 보여준다.

    2024.01.27
  • 옥녀봉 구멍가게 - 옥녀봉공원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충남 논산시 강경읍 옥녀봉로73번길 28-17에 위치한 ‘옥녀봉구멍가게’는 수십년째 자리를 지켜온 동네 터주대감같은 곳이다. 편의점들이 슈퍼나 마트 같은 신종외래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인데 구멍가게라는 간판을 달아놓고 영업을 하고있는 옥녀봉구멍가게가 독특하기도 하고 경이롭게 느껴지기도 한다.

    2024.01.14
  • 송재정 - 옥녀봉공원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송재정은 충남 논산시 강경읍 북옥리 142에 위치한 옥녀봉공원에 있는 정자다.

    2024.01.14
  • 쥬라기 화강암 - 강경천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2024.01.14
  • 강경천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강경천(江景川)은 충남 논산시 고내리 수철천에서 발원하여 전북 익산시 여산면과 망성면을 거쳐 충남 논산시 강경읍에서 논산천으로 흘러드는금강의 제2지류다. 강경천의  길이는 26.3km이다,

    2024.01.14
  • 강경젓갈전시장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일제강점기까지 원산포구와 함께 전국 2대 포구로 유명했던 강경포구와 평양시장·대구시장과 더불어 전국 3대 시장으로 번성했던 강경시장은 서해안에서 생산되는 각종 수산물이 집산되어 거래되던 곳이었다.  당시 새우·황석어 등 어물을 염장, 발효시켜 젓갈로 만들어 판매하면서 반찬과 김장재료로서 강경젓갈은 전국적으로 유명해졌고, 오늘날까지 그 전통이 이어져 현재 130여 개의 대형 젓갈상점이 강경젓갈시장에서 성업 중이다.  이런 이유로 젓갈 산업은 논산시 강경읍의 경제를 견인하는 특화 산업이 되었고, 이러한 상황을 반영, 강경젓갈축제와 연계하여 강경전통젓갈젓을 널리 알리는 한편 옛 번창했던 강경을 되살리자는 취지에서 금강 변에 강경젓갈전시관을 건립하게 되었다.

    2024.01.14
  • 팽나무 - 옥녀봉공원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2024.01.14
  • 한국 침례교 최초 예배지 - 옥녀봉 공원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충남 논산시는 강경읍 북옥리 137에 위치한 강경침례교회는 1896년 아울링 선교사 일행이 한국 최초의 침례교회 성도인 지병석 씨 댁으로 이곳에서 첫 예배를 드리고 선교를 시작하였다고 한다.

    2024.01.14
  • 옥녀봉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땅은 바다와 더불어 떠 있으면서 기를 따라 오르내린다. 땅 위의 강물이 1에서 생겨나 바다로 돌아가니, 이것이 썰물이 된다. 땅 아래의 바닷물이 6에서 이루어져 강으로 들어가니 이것이 밀물이 된다. 밀물과 썰물은 십이상의 상충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니, 묘(卯)와 서(西)에서 시작된다.그것이 6의 수에 의하니 삼토는 6×6=36이요, 삼룡은 36에서 1×6을 감한 것이요, 삼사는 30에서 2×6을 감하여 18이 되니 이렇게 조수가 감소한다. 일마는 18에 9×6을 더한 것이요, 삼양은 72에 8×6을 더한 것이며, 이원은 120에 7×6을 더하니 이렇게 호수가 증가한다. 묘(卯)·진(辰)·사(巳)에는 음(陰)이 양(陽)을 가리니 기가 축소되고, 오(午)·미(未)·신(申)에 양(陽)이 음(陰)을 가리니 기가..

    2024.01.14
  • 풍경 - 옥녀봉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2024.01.14
  • 봉수대 - 옥녀봉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북옥리에 위치하고 있는 옥녀봉 봉수대는 전북 익산 광두원산의 봉수를 받아 황화산성, 노성봉수로 연락을 취하던 곳이다.

    2024.01.14
  • 소금집(박범신) - 옥녀봉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북옥리에 위치하고 있는 옥녀봉을 오르다가 박범신작가의 문학관과 그의 소설 소금에 나오던 ‘소금집’이 그곳에 있다는 사실을 알고 조금 놀라기도 했고 푸르게 흐르던 강경천과 아름다운 강경천변풍경을 내려다보며 잠시 옛생각에 빠져버렸던거 같다. 80년대 그 시절 영원한 청년이라는 별명을 가진 박범신작가의 죽음보다 깊은 밤, 풀잎처럼 눕다 소금 등  그분이 집필했던 소설을 흥미롭게 읽었던 기억이 난다. 아무튼 박범신 작가의 소설 '소금'은 논산 강경과 탑정호 일대를 배경으로 우리 시대 아버지의 초상을 감동적으로 그려낸 장편소설이다. 이 소설의 배경으로 설정된 집이 여기에 있는 소금집이다.  "아, 달고 시고 쓰고 짠 눈물이여 어디에서 와 어디로 흐르는가 당신이 떠나고 나는 혼자 걸었네 먼 ..

    2024.01.14
  • 죽림정 - 죽림서원 - 강경읍- 논산시 - 충남

    2024.01.14
  • 죽림서원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죽림서원(竹林書院)은 충남 논산시 강경읍 황산리에 있는, 율곡 이이 ·우계 성혼 ·사계 김장생 ·정암 조광조 ·퇴계 이황 ·우암 송시열등의 선현에게 제사를 지내고 후학을 교육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1984년 5월 17일 충남의 문화재자료 제75호로 지정되었다.

    2024.01.14
  • 미내천다리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2024.01.14
  • 연수당 건재약방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옥녀봉로24번길 14 에 위치한 ‘연수당’ 이란 2층 한옥상가 건물은 건재 한약방으로 1923년 지어졌다. 건물의 구조를 살펴보면 전통적인 한식구조에 상가의 기능을 더해 근대기 한옥의 변천을 보여주고 있다. 대지 면적은 306.9㎡이며, 건축 총면적은 46.2㎡이다. 지상 2층 4칸의  목구조 건물이다. 구조는 한식이지만 1층 차양지붕, 지붕 장식재, 변화된 툇마루 등에서 일본 건축의 분위기를 띠는 특이한 건물이기도 하다. 참고로 이 연수당 건물은 2015년 개봉된 영화 ‘조류인간’의 촬영지였다고 한다.

    2024.01.14
  • 김대건신부 첫 사목성지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김대건 신부는 황포항 외진 곳에 상륙해서 강경 사람 구순오 집에 한 달 남짓 머물며 첫 사목활동을 했다고 한다. 구순오의 집은 지금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지만 그 위치는 이 기념공원 옆으로 남아 있다.  시로 쓴 김대건 신부 / 김남조  말할 수 없어라온 세상의 말을 가진다 해도이 한 가지 신비나타낼 수 없어라신의 특별하신 간택이만인 중에서 가려 뽑은 자에게성령으로불의 인을 찍으시고주의 보혈을따르어 먹이심을이제 그는주 안에 거하리니곧 주의 사람이라생명이여원자로의 불과 같이오직 타오를 줄만 아는성령받은그 생명이여작도날보다더 가혹한 형구로도 못 당했으니마흔 번 문초에도별의 눈빛흐리지않고옷 벗기우고얼굴에 회칠화살을 두 귀에 꽂아주릿대 돌린 다음여덟 번 난도질로 목 베어져도입가에 머무는 건봄바람 이는미소노래할 수..

    2024.01.14
  • 천주당 - 강경성지성당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이 천주당은 강경성지성당옆에 있는 성당으로 김대건 신부가 중국에서 조선인 최초로 사제 서품을 받은 상해의 금가항 성당 모양을 복원한 것이라고 한다.

    2024.01.14
  • 강경성지성당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충청남도 논산시 옥녀봉로 27번길 13-3에 위치하고 있는 강경성지성당은 국가등록문화재 제650호로 지정되어있는데 1945년 논산시 부창동 본당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초대 신부는 박귀훈 요한 신부였고 1961년에 건립되었다. 그 당시는 특이한 구조방식인 첨두형 아치보로 내부를 구성하는 등 현대적 처리가 돋보인다. 붉은 지붕을 한 건물이 이국적으로 다가온다. 강경성지성당은 보드랭 신부(1897∼1976)의 설계와 감독으로 이 지어졌다. 건립 당시의 구조와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또한 당시의 일반적인 건축구조형식을 벗어나 아치 형식의 구조 프레임을 사용하여 대형공간을 만드는 등 건축적으로도 종교사적 가치가 높다.

    2024.01.14
  • 강경구락부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계백로167번길 46-11에 위치한 강경구락부는 강경역사관 뒷 마당에 설치되어 있으며 강경 구락부엔  근대 시대에 번창했던 강경사인들이 당시 즐기던 근대 서구식 사교시설과 오락시설인 커피하우스 호텔등을 옛모습으로 재현해 놓은 곳이다.

    2024.01.14
  • 임리정 - 강경읍 - 논산시 - 충남

    임리정(臨履亭)은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황산리 95에 위치하고 있는 건축물이다. 조선 인조 4년(1626) 사계 김장생이 지은 정자로 학문을 닦고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이다. 원래의 이름은 황산정이었으나 “깊은 못가에 서 있는 것과 같이, 얇은 얼음장을 밟는 것과 같이, 자기의 처신과 행동에 항상 신중을 기하라”라는 『시경』의 구절을 따서 임리정이라 이름을 바꾸었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앞면 3칸의 기둥 사이를 같은 간격으로 나누어 왼쪽 2칸은 마루를 깔아 대청으로 하고 오른쪽 1칸은 온돌방을 두었다. 뒤쪽으로는 사랑방을 2개 꾸며 사람들을 맞이할 수 있게 하였다.임리정은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정자 양식을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앞마당에는 18..

    2024.01.14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