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충청도(479)
-
그림같은 수목원 - 광천읍 - 홍성군 - 충남
충남 홍성군 광천읍 충서로400번길 102-36에 위치하고 있는 '그림같은 수목원'은 3만평 정도의 대지위에 목본류 460여종 갖추어 총 1330여종을 보유하고 있는 수목원이다. '그림같은 수목원'은 서해와 근접해있어 바람이 많고 습도도 높은 편이라 다른 지역에 비해 좀 낮은 기온차로 꽃의 개화시기도 2주 정도 늦어지는 지리적인 특징이 있다. 이곳에는 야생화원, 온실식물원, 연꽃정원, 암석원, 전망대, 미술관, 연상홍길, 폭포, 전통가구전시장, 자연생태원, 카페 등의 시설이 있다.
2024.05.01 -
폭포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병천읍 - 천안시 -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천지산길 175에 위치하고 있는 아름다운정원 화수목은 대한민국 민간정원 1호이다. 100m 인공폭포와 석부작길, 탐라식물원, 명품분재원, 테마정원 등의 다양한 힐링공간과 레스토랑, 베이커리카페 등 맛있는 식사가 가능한 가능한 곳이며, 천안 유일 야외가든웨딩 과 실내연회등도 가능한 곳이다. ‘석부작(石附作)’은 돌에 나무를 심거나 붙여, 나무가 바위나 절벽에 뿌리 내린 자연의 풍광을 표현하거나, 돌과 나무의 어울림을 만들어 작가의 의도를 표출하고, 조형적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석부작에 적합한 식물의 종류로는 관목류, 사초종류, 이끼종류, 양치류, 야생화종류 등이 있으며, 현무암(화산석, 송이석), 평석, 황호석 등 다양한 돌을 활용하여 만들 수 있다.
2024.05.01 -
야외가든웨딩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병천읍 - 천안시 -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천지산길 175에 위치하고 있는 아름다운정원 화수목은 대한민국 민간정원 1호이다. 100m 인공폭포와 석부작길, 탐라식물원, 명품분재원, 테마정원 등의 다양한 힐링공간과 레스토랑, 베이커리카페 등 맛있는 식사가 가능한 가능한 곳이며, 천안 유일 야외가든웨딩 과 실내연회등도 가능한 곳이다. ‘석부작(石附作)’은 돌에 나무를 심거나 붙여, 나무가 바위나 절벽에 뿌리 내린 자연의 풍광을 표현하거나, 돌과 나무의 어울림을 만들어 작가의 의도를 표출하고, 조형적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석부작에 적합한 식물의 종류로는 관목류, 사초종류, 이끼종류, 양치류, 야생화종류 등이 있으며, 현무암(화산석, 송이석), 평석, 황호석 등 다양한 돌을 활용하여 만들 수 있다.
2024.05.01 -
석부작(石附作) - 아름다운 정원 화수목 - 병천읍 - 천안시 -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천지산길 175에 위치하고 있는 아름다운정원 화수목은 대한민국 민간정원 1호이다. 100m 인공폭포와 석부작길, 탐라식물원, 명품분재원, 테마정원 등의 다양한 힐링공간과 레스토랑, 베이커리카페 등 맛있는 식사가 가능한 가능한 곳이며, 천안 유일 야외가든웨딩 과 실내연회등도 가능한 곳이다. ‘석부작(石附作)’은 돌에 나무를 심거나 붙여, 나무가 바위나 절벽에 뿌리 내린 자연의 풍광을 표현하거나, 돌과 나무의 어울림을 만들어 작가의 의도를 표출하고, 조형적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석부작에 적합한 식물의 종류로는 관목류, 사초종류, 이끼종류, 양치류, 야생화종류 등이 있으며, 현무암(화산석, 송이석), 평석, 황호석 등 다양한 돌을 활용하여 만들 수 있다.
2024.05.01 -
아름다운 정원 화수목3 - 병천읍 - 천안시 -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천지산길 175에 위치하고 있는 아름다운정원 화수목은 대한민국 민간정원 1호이다. 100m 인공폭포와 석부작길, 탐라식물원, 명품분재원, 테마정원 등의 다양한 힐링공간과 레스토랑, 베이커리카페 등 맛있는 식사가 가능한 가능한 곳이며, 천안 유일 야외가든웨딩 과 실내연회등도 가능한 곳이다. ‘석부작(石附作)’은 돌에 나무를 심거나 붙여, 나무가 바위나 절벽에 뿌리 내린 자연의 풍광을 표현하거나, 돌과 나무의 어울림을 만들어 작가의 의도를 표출하고, 조형적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석부작에 적합한 식물의 종류로는 관목류, 사초종류, 이끼종류, 양치류, 야생화종류 등이 있으며, 현무암(화산석, 송이석), 평석, 황호석 등 다양한 돌을 활용하여 만들 수 있다.
2024.05.01 -
아름다운 정원 화수목2 - 병천읍 - 천안시 -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천지산길 175에 위치하고 있는 아름다운정원 화수목은 대한민국 민간정원 1호이다. 100m 인공폭포와 석부작길, 탐라식물원, 명품분재원, 테마정원 등의 다양한 힐링공간과 레스토랑, 베이커리카페 등 맛있는 식사가 가능한 가능한 곳이며, 천안 유일 야외가든웨딩 과 실내연회등도 가능한 곳이다. ‘석부작(石附作)’은 돌에 나무를 심거나 붙여, 나무가 바위나 절벽에 뿌리 내린 자연의 풍광을 표현하거나, 돌과 나무의 어울림을 만들어 작가의 의도를 표출하고, 조형적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석부작에 적합한 식물의 종류로는 관목류, 사초종류, 이끼종류, 양치류, 야생화종류 등이 있으며, 현무암(화산석, 송이석), 평석, 황호석 등 다양한 돌을 활용하여 만들 수 있다.
2024.05.01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1 - 목천읍 - 천안시 -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천지산길 175에 위치하고 있는 아름다운정원 화수목은 대한민국 민간정원 1호이다. 100m 인공폭포와 석부작길, 탐라식물원, 명품분재원, 테마정원 등의 다양한 힐링공간과 레스토랑, 베이커리카페 등 맛있는 식사가 가능한 가능한 곳이며, 천안 유일 야외가든웨딩 과 실내연회등도 가능한 곳이다. ‘석부작(石附作)’은 돌에 나무를 심거나 붙여, 나무가 바위나 절벽에 뿌리 내린 자연의 풍광을 표현하거나, 돌과 나무의 어울림을 만들어 작가의 의도를 표출하고, 조형적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석부작에 적합한 식물의 종류로는 관목류, 사초종류, 이끼종류, 양치류, 야생화종류 등이 있으며, 현무암(화산석, 송이석), 평석, 황호석 등 다양한 돌을 활용하여 만들 수 있다.
2024.05.01 -
맹사성기념관 - 맹씨행단(孟氏杏壇) - 배방읍 - 아산시 - 충남
고불맹사성기념관의 대지면적은 총 4,279㎡, 건축면적은 574.89㎡이며 연면적은 384.12㎡으로 전시동, 교육동 2개의 동으로 나눠져 있다. 전시동은 고불 맹서성 선생과 맹씨행단에 관련된 역사자료를 볼 수 있는 공간이고,영상관은 고불 맹사성기록물을 영상으로 볼 수 있는 공간이며, 교육동은 고불 맹사성선생과 맹씨행단에 대한 세미나 및 청렴교육을 하는 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2024.05.01 -
쌍행수(雙杏樹) - 맹씨행단 - 배방읍 - 아산시 - 충남
쌍행수(雙杏樹)라고 불리우는 이 두 그루의 은행나무는 나이가 무려 600살이 훨씬 넘은 것으로, 맹사성이 이 집에 살던 때 몸소 심고 가꾼 나무라고 전한다. 오랜 세월을 살아온 이 나무들은 한 그루는 높이 40m, 둘레 5m 80cm, 다른 한 그루는 높이 45m, 둘레 8m 50cm로, 사적 109호로 지정된 아산 맹씨행단에 자리하고 있다.
2024.05.01 -
세덕사(世德祠) - 맹씨행단(孟氏杏壇) - 배방읍 - 아산시 - 충남
맹씨행단 고택의 북동쪽에 있는 세덕사(世德祠)는 그의 조부인 맹유(孟裕), 부친인 맹희도(孟希道) 그리고 맹사성(孟思誠) 이 세 사람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이다. 사당은 후대에 지어진 것이나 최초 건립 시기는 알 수 없다. 이곳에서 매년 10월 10일 숭모제가 열리고 있다. 구괴정은 고택 외곽의 담장 밖에 자리하고 있다. 세덕사는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전면 반 칸 열에 툇기둥을 세워 벽체와 창호를 설치하여 툇마루 공간을 두고 있다. 지붕부는 팔작지붕의 구조이다. 구괴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6칸 규모의 정자이다. 바닥은 모두 마루를 깔았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 창호나 벽체가 없이 모두 개방되어 있다. 세덕사와 마찬가지로 지붕부는 팔작지붕 구조이다.
2024.05.01 -
구귀정(九槐亭) - 맹씨행단(孟氏杏壇) - 배방읍 - 아산시
이 정각은 조선 세종 때의 정승이었던 황희 권진과 함께 느티나무를 세 그루씩 심었다는 데에서 구괴정((九槐亭)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600여년 전의 이곳은 오봉산을 배경으로 앞에는 북풍을 막아주는 배방산과 복부성이 병풍처럼 둘러져 있고 금곡천의 맑은 물이 당긴 활모양으로 흘러내려 시인과 묵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던 명승지였다고 한다. 세 정승은 이 곳에 정각을 세워 시문을 지어 읊으며 망중하능 즐겼고 국정을 논의하기도 하였으며 일하는 농민을 불러 위로하며 민정도 살폈다. 600여년의 세월이 흘러 아홉그루중 일곱 그루의 느티나무는 수명을 다하였고 두 구루만 허리를 굽힌체 받침대에 의지하여 흥망성쇠하였던 500년의 역사를 말없이 증언하고 있다. 한 편 인곳은 삼정승이 국사를 논의 하였다고 하여 삼상당(三..
2024.05.01 -
맹사성고택(孟思誠故宅) - 맹씨행단(孟氏杏壇) - 배방읍 - 아산시 - 충남
맹씨행단이라고 불리우는 맹사성고택은 정면 4칸, 측면 3칸의 ㄷ자형 평면집으로 지정면적 7,851㎡의 고려말기인 600여년전의 고택이다. 본채와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었다는 이 고택은 행랑채와 부엌은 사라지고 가옥의 위치마져도 서북향(西北向)인 손좌(巽坐)에서 동북향(東北向)인 계향(癸向)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하지만 기둥에 대들보 나무를 가로 얹어 그 위로 지붕을 쌓은 모습이나 기와를 쌓아 본채 밖으로 자리를 만든 굴뚝 등의 모습은 조선시대 민가에서 찾아보기 힘든 고려 말기 가옥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고택이다.
2024.05.01 -
맹씨행단(孟氏杏壇) - 배방읍 - 아산시 - 충남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행단길 23-4에 위치하고 있는 맹씨행단은 조선 초기 세종 때 영의정으로 검소한 생활과 원칙에 철저한 학자로 명성을 높인 맹사성의 집안이 살던 곳이다. 이곳은 본래 고려 말기 충절의 상징이 되는 최영 장군의 가옥이었는데, 최영 장군과 맹사성의 할아버지와의 인연으로 맹사성은 그의 손녀사위가 되었다. 이후 맹사성이 물려받아 그의 집안이 살게 되었다. 맹사성의 행단 즉 맹씨행단(孟氏杏壇)이란 가옥명은 공자가 은행나무 위에서 가르쳤다는 얘기에서 나온 말로, 학문을 닦는 곳을 행단이라 한 것에 연유되어 그리 부르게 된거 같다. 그도 그럴것이 고택에는 맹사성이 단(壇)을 만들어 공부했다는 수령 640년 생인 은행나무 두 그루가 행단의 상징처럼 우뚝 서 있기도 하다. 맹씨행단(孟氏杏壇)에는 ..
2024.05.01 -
궁평저수지(송악저수지) - 송악면 - 아산시 - 충남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궁평리에 있는 송악저수지(궁평저수지)는 삽교천 수계인 온양천으로 흘러드는 유곡천과 약봉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존형 필댐(Zoned Filldam)형식으로 축조한 농업용 인공 저수지이다. 집수 면적은 4,333㏊, 만수 면적은 111.7㏊, 관개[수혜] 면적은 1,108㏊이다. 제방 높이는 19m, 제방 길이는 307m, 제정 폭은 6m로 제정을 따라 지방도 616호선이 지난다. 제방 동쪽 끝에 있는 물넘이는 총 8개의 인양식 수문형 게이트이다. 유효 저수량은 6,717.3㎥로 저수량과 용수 공급량이 많아 취수탑형 취수구가 제방 서쪽 끝부분에 있고 취수공은 4공이다. 방수로의 길이는 266m, 바닥 평균 폭은 40m, 옹벽 평균 높이는 7m이다. 부속시설로 배방양수장이 있다.
2024.04.25 -
불굴의 한국인상 - 독립기념관 - 천안시 - 충남
독립기념관 본관인 겨레의 집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불굴의 한국인상’은 애국심을 강조하기 위한 상징 조형물이다. 1개 당 무게 3∼4톤 정도의 화강암 274개를 쌓아 하나의 군상(群像)을 만든 환조(丸彫)로서, 동상 뒷면에는 백두산 천지의 부조가 조각되어 있다. 천지로부터 조각상이 이어져 용솟음치듯 창공을 향해 벋어가는 모습은 백두산의 정기를 받아 민족의 자주와 독립, 인류의 평화와 번영을 향해 표출되는 불굴의 기상을 드러낸다. 뒷면 양쪽에는 억압의 사슬을 끊고 자유와 독립을 위해 나아가는 독립투쟁 용사상이 부조되어 있다.
2024.04.24 -
공개토대왕릉비(廣開土大王陵碑) - 독립기념관 - 천안 - 충남
광개토왕릉비는 고구려의 19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그의 아들인 장수왕이414년 국내성에 세운 것으로 높이는 6.39m이며 네 면에 1,775개의 글자가 기록되어 있다. 독립기념관에 서있는 이비는 모조품이며 진품은 안타깝게 중국 지린성(吉林省) 집안시(集安市)에 있다. 비문의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1부는 시조인 추모왕이 북부여(北夫餘) 땅에서 남쪽으로 내려와 비류곡(沸流谷)의 홀본(忽本) 서쪽에 도읍을 두고 나라를 세웠다는 건국 설화로부터 시작된다. 이후 유류왕(儒留王)과 대주류왕(大朱留王)을 거쳐 17세손인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 즉 광개토왕으로 왕실의 계보가 이어졌다는 점, 그리고 광개토왕의 생전 업적에 대한 찬양..
2024.04.24 -
전차 - 제2전시관(겨레의 시련) - 천안시 - 충남
개항을 한 뒤 조선에는 많은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우선 새로운 교통수단이 등장해 사람들의 생활이 크게 바뀐다. 제일 눈에 띄는 것이 바로 전차로 1898년 미국인 콜브란(H. Collbran)이 한성전기회사를 세우고 전차 부설공사를 시작한다. 동대문 발전소를 건설하면서 서울 서대문과 청량리를 가로지르는 단선 전차 부설공에 착수하였고 그리고 다음해인 1899년 5월 전차가 개통한다. 당시 사람들은 전차를 가리켜 ‘쇠당나귀’라고 불렀으며 1900년에는 서울과 인천을 잇는 철도의 경의선이 개통한다.
2024.04.23 -
무용총(舞踊塚) - 제1전시관(겨레의 뿌리) - 독립기념관 - 천안시 - 충남
묘주접객도(墓主接客圖) 접객도(接客圖) 수렵도(狩獵圖) 무용도(舞踊圖) 천정도(天井圖) 천정도(天井圖) 천정도(天井圖) 천정도(天井圖) 천정도(天井圖) 천정도(天井圖) 천정도(天井圖) 독립기념관 제1전시관인 겨레의 뿌리관에 전시되어 있는 무용총(舞踊塚)은 중국 지린 성 지안 현에 있는 고구려의 고분이다. 무용하는 모습이 그려진 아름다운 벽화가 있어 무용총이라고 부른다. 무용총은 봉토의 길이는 17m, 높이는 4m이며 무덤의 방향은 서쪽으로 50°쯤 기울어져 있어 서남향이다. 널길, 좌우 직사각형의 앞방, 이음길, 널방으로 구성된 두방무덤인 쌍실분(雙室墳)이다. 돌을 쌓아 축조하고 회(灰)를 발라 미장했다. 널방 서벽아래에 4개의 석판이 있다...
2024.04.23 -
백련못(白蓮池) - 독립기념관 - 천안시 - 충남
독립기념관내 백련못(白蓮池)은 둘래 1,500m 수심 1.8m의 인공호수다. 주변의 자연수가 흘러 들어와 폭포와 월류벽을거쳐 흐르며 바닥은 2m의 진흙을 다져 자연 호수와 같이 조성하였다. 주면에는 전통 조경수와 꽃 애국지사들의 시 어록비들이 있어 아름다운 경관과 자연스러운 교육의 장을 이룬다. 백련못(白蓮池)이란 이름은 진창속에서 고결한 연꽃이 피어나는 것처럼 우리 역사에서 가장 치욕스럽고 고통스러웠던 일제 식민지 치하에서 가장 숭고한 애국애족의 민족정신이 꽃피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2024.04.23 -
겨레의 탑 - 독립기념관 - 천안시 - 충남
독립기념관 입구에 서있는 겨레의 탑은 대지를 박차고 하늘로 날아오르는 새의 날개 같기도 하고, 기도하는 양손과 같기도 한 모습으로, 평화와 화합을 통한 번영과 미래를 향한 민족의 단결 의지를 표상화한 탑이다. 높이는 51.3m, 폭은 17.6m, 너비는 9.6m, 바닥면적은 576m다.
2024.04.23 -
기마무사상 - 독립기념관 - 천안시 - 충남
가야 기마무사상가야는 우수한 철제 갑옷과 무기 등을 생산해 강한 군사력을 유지했으며, 재현된 가야 기마는 판갑옷과 철제 투구를, 말 역시 철로 만든 갑옷과 머리가리개를 쓰고 있다. 고구려 기마무사상무용총에 보이는 고구려인의 모습을 재현한 것으로 말위에서 자유롭게 몸을 가누며 활을 당기는 모습이다.
2024.04.23 -
독립기념관 - 천안 - 충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 1에 위치하고 있는 독립기념관은 겨레의 집으로 불리우는 연면적 23,624㎡ 규모의 철근 콘크리트 건물로, 높이는 12.5m이며, 7개의 상설전시실과 특별전시실에서 유물과 모형 등을 전시하고 있다. 정면에는 높이 51m의 겨레의 탑이 있고 태극기마당, 겨레의 큰마당, 105인 사건을 상징하는 105인 계단, 통일염원의 동산,단풍나무숲길,백련지, 광개토대왕능비 등이 있다. 제1전시관(겨레의 뿌리)선사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우리 민족의 뛰어난 문화유산과 국난 극복사를 주제로 하고 있다. 우리 겨레는 수 천 년의 역사를 이어오는 동안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하여 발전시켰고 외부의 침략에 맞서 수많은 전투를 치르며 이 땅을 지켜왔다. 자랑스러운 민족문화 전통이..
2024.04.23 -
가혜저수지(염치저수지) - 염치읍 - 아산시 - 충남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동정리에 위치하고 있는 가혜저수지(염치저수지)는 존형 필댐 형식의 저수지이다. 집수 면적은 1,588㏊a, 만수 면적은 81.3㏊, 관개면적은 592.8㏊이다. 제방 높이는 11.6m, 제방 길이는 276m, 제정 폭은 6m이다. 유효 저수량은 3,493.7㎥로 저수량과 용수 공급량이 많지 않아 사통형 취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제방 동쪽 끝에 있다. 방수로의 길이는 21m, 바닥 평균 폭 21m, 옹벽 평균 높이는 3.5m이다. 부속시설로 백암양수장이 있다. 참고로 낚시를 하는 분들에겐 배스낚시하기 좋은 저수지로 소문이 나있는 낚시터 저수지이기도 하다.
2024.04.19 -
현충사 - 아산시 - 충남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에 위치하고 있는 현충사는 충무공 이순신이 무과에 급제하기 전까지 살았던 곳이다.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운 이순신을 기리기 위해 숙종 32년(1706)에 사당을 세우고, 1707년 숙종이 직접 ‘현충사’라 이름 지었다. 그 뒤 200년간 사당을 잘 운영해 오다가 한때 일제의 탄압으로 쇠퇴하였다. 광복 후 1967년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현충사 성역사업을 마치면서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주요시설로는 이순신의 초상화를 모셔놓은 현충사를 비롯하여 이순신이 자란 옛 집, 활을 쏘며 무예를 연습하던 활터, 정문인 홍살문, 셋째 아들 이면의 무덤이 있다. 충무공이순신기념관에는 국보76호 9점(난중일기 7권, 임진장초 1권, 서간첩 1권), 보물 326호 6점(장검 2병, 요대1구,..
2024.04.16 -
영인상성저수지 - 인주면 - 아산시 - 충남
충남 아산시 영인면 상성리는 본래 아산군 현내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상불리, 성대리, 궁대리, 원우리를 병합하여 상성리(上聲里)라 하고 아산군 영인면에 편입되었다 상성리라는 명칭은 1914년 상불리와 성대리를 병합할 때 두 마을의 이름을 한 글자씩 따서 붙인 것이다. 영인산이 남쪽에 있고 북동 방향으로는 영인상성저수지가 있어 풍광이 수려한 동네다. 또한 상산김씨가 550여 년 거주한 집성촌 마을로 현재 30여 호가 마을에 살고 있다. 이중 영인상성저수지는 존형 필댐(Zoned Filldam)형식의 저수지이다. 집수 면적은 481㏊, 만수 면적은 34.8㏊, 관개 면적은 253㏊이다. 지금은 낚시터로 운영되고 있다.
2024.04.13 -
게바위 - 인주면 - 아산시 - 충남
모야천지'(母也天只) 어머니는 하늘이시다 대설국욕'(大雪國辱) 나라의 치욕을 크게 갚아라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해암리에 있는 게바위는 과거에 해안가였던 지형이다. 현재는 농지가 되었고 자연석 바위가 돌출되어 무더기를 이룬 형상이다. 게바위가 있는 곳은 1960년대까지도 나루터가 있어서 큰 배가 드나들었던 지역이었다. 게바위는 주로 배를 묶는 용도로 활용되었고, 해난 사고가 일어나지 않기를 기원하는 해신당(海神堂)의 역할을 하는 바위였다. ‘게바위’는 바위의 형상이 ‘게’를 닮았다고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그러나 1979년 10월에 준공된 삽교천방조제로 인한 지형 변화에 따라 바닷가 펄의 상당 부분이 육지화하면서 본래 있던 게바위는 매몰되었고, 인근에 흡사하게 생긴 현재의 바위가 ‘게바..
2024.04.10 -
형제송 - 인주면 - 아산시 - 충남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해암리에는 수령 400여년생인 형제송(兄弟松)이라 부르는 해송 두 그루가 서있다. 두 그루 중 형소나무라고 불리우는 소나무는 높이 11.09m, 둘레 3.7m이며, 아우송이라 불리우는 소나무는 높이 10.02m, 둘레 3.02m다. 형제송은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43호로 지정되어 인근 611㎡를 보호구역으로 조성하고 있다. 이 형제송이라고 불리우는 두그루의 소나무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내려져오고 있다. 슬하에 자식이 없던 농부 내외가 간절한 기도 끝에 신령님의 감화로 쌍둥이를 얻게 되었다. 어려서부터 총기가 있고 무공이 뛰어나 건실하게 자란 쌍둥이는 함께 과거를 준비하는데, 1592년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였다. 서해안으로 침략한 왜적을 대적하여 기꺼이 참전하..
2024.04.10 -
피나클랜드의 봄 - 아산시 - 충남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월선길 20-42에 위치한 피나클랜드는 관광농원이다. 피나클랜드 수목원은 아산만 방조제 매립을 위해 채석장으로 사용된 곳으로 이창호 선생(거제 외도 보타니아 설립)이 자녀들과 함께 손수 가꿔 만든 곳으로 2006년 7월에 개관하였다. 107,300㎡(약 3.2만 평) 대지에 13개의 테마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봄에는 수선화, 튤립을, 여름에는 수국을, 가을에는 국화를, 겨울에는 별빛, 레이저 불빛으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공원이다.
2024.04.10 -
냉정저수지 - 아산시 - 충남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냉정리에 있는 냉정저수지는 존형 필댐(Zoned Filldam)형식의 저수지이다. 집수 면적은 533㏊, 만수 면적은 25.8㏊, 관개 면적은 326㏊이다. 제방 높이는 10.82m, 제방 길이는 308m, 제정 폭은 4.4m다. 유효 저수량은 940.1㎥로 저수량과 용수 공급량이 많지 않아 사통형 취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제방 남쪽 끝부분에 있다. 방수로의 길이는 118m, 바닥 평균 폭 18m, 옹벽 평균 높이는 1.03m이다.
2024.04.09 -
냉정저수지 - 아산시 - 충남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냉정리에 있는 냉정저수지는 존형 필댐(Zoned Filldam)형식의 저수지이다. 집수 면적은 533㏊, 만수 면적은 25.8㏊, 관개 면적은 326㏊이다. 제방 높이는 10.82m, 제방 길이는 308m, 제정 폭은 4.4m다. 유효 저수량은 940.1㎥로 저수량과 용수 공급량이 많지 않아 사통형 취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제방 남쪽 끝부분에 있다. 방수로의 길이는 118m, 바닥 평균 폭 18m, 옹벽 평균 높이는 1.03m이다.
2024.04.09